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주차 강의 후기(권유디님)_지방 투자자의 뇌로 갈아 끼우고 봐라!

  • 25.04.06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1주차 강의 후기_지방 투자자의 뇌로 갈아 끼우자! ★지방투자의 기준★을 알고 예시를 통한 지방 투자 시뮬레이션!]

 

이때까지는, 서울 & 경기도에 대한 투자 기준에 대해 공부했고 광역시 & 중소도시에 대한 투자 기준에 대해서는 항상 다르다고만 생각했지 그 기준에 대해서는 배워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지방투자 기초반 강의를 통해 그 기준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 현재 지방 시장에 대한 이해

  • 지금 지방은 매매/전세 다 바닥이고 잃지 않을 투자를 하기 위한 적기이다!
  • 지방 투자 기준 3가지
    - 수요가 많은 지역 : 지방에서의 수요는 곧 ㅇㄱㅅ이다. 단, 비싸다면 하지마라!
    - 건물 ㄱㅊ가 큰 단지 : 지방은 ㅂ ㄸ이 많아서 땅의 가치가 떨어지니 단지별 구축 수요를 반드시 파악하자.
    - ㅅㅎㄷ고려 : 지방 지역별로 ㅅㅎ하는 동네, 단지가 있으니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자. 즉, 커뮤니티 발생의 이해 필요
  • 지방 투자 핵심
    1. ㅇㄱㅅ : 많을수록 소화할 수 있는 공급 물량이 많고 집을 살 사람이 많지만, ‘법칙’은 아니다!
    2. ㅇㅈ : 땅의 힘이 크지 않다! 환경과 학군을 따라 거주지 선택을 많이 한다.
    3. ㅅㅍㅅ : 연식, 브랜드, 택지규모 중요하다.
  • 입지평가 기준
    서울 & 수도권과 다른 기준! 인직학환공교!
    1. 인구 : 300만 이상이면 ‘S’인데, 평가 범위는 시 단위임.
    2. 직장 : 일자리와 주요 직장이 많은 지역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주요 요인인데, 지역 마다 다르다!
    3. 학군 : 아이 때문에 광역시 단위별로 움직이지는 않는다! 그래도 학군은 땅의 가치를 만드는 요소임.
    4. 환경 : 광역시도 구매력이 좋다! 지방의 소비력을 믿어라.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지역 거주 만족도를 높인다.
    5. 공급 : 전세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공급물량 → 전세물량 → 전세가 → 매매가
    6. 교통 : 부산 & 대구 외 의미가 작다.
    → 학군, 환경 > 직장, 교통

 

▶ XX광역시 현재 상황

  • 연령별 인구로 각 구에 인구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하고, 주변 도시와의 인구 이동을 이해하자.
  • 구 별로 일자리 규모와 소득수준이 상관 없다 → 아…직주근접 즉 교통이 전혀 의미없구나..
  • 지방은 공감이 중요하다… 디테일에 익숙해져야 한다.
  • 단지 보는 눈으로 이후의 수익에 큰 차이를 만들 것…
  • 핵심은 사지 말아야할 것을 사지 않는 것이다!!

 

▶ 마인드 셋

  • 첫 투자의 핵심 : 뭔가 다름을 느꼈을때 용기를 내는 것!
  • 동료들을 활용하여 오래 살아남자!
  • 지방은 돈을 벌수 있고, 수도권은 부자가 될 수 있다!! 돈을 벌어 부자가 되자

댓글


용키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