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6기 89조 신규니]

  • 23.09.01

1강.

- 초심을 잃지 않고 강의를 잘 듣기 위해 메모하기, 행동하기, 투자동료얻기, 강의 복습하기를 꼭 해야겠다고 다짐함.

- 자산가들의 공통점은 돈을 잘 벌 수 있는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라는 말이 와닿았다.

-> 자산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은 많이 했지만 항상 어떻게? 라는 생각은 너무 막연해서 구체적으로 하지 않았다.

돈을 잘 벌 수 있는 분야가 부동산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만큼, 부동산의 전문가가 되어 자산가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

- 내 근로 소득은 언젠가 멈춘다는 말이 충격이었다. 당연한 얘기지만 구체적으로 노후 자금과 근로 가능 시기를 비교하니 충격으로 다가왔다.

-> 회사, 나라는 내 노후를 책임지지 않으므로 내가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내가 바라는 삶은 결국 돈이 있어야 가능하므로 내가 스스로 노후를 대비해야 한다는 점에 경각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 방법은 노동이 아닌 자본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

: 초심을 잃지 말고 기초반 강의에 집중해서 이해하고 복습하기 위해 노력하자.

: 자본으로 소득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자

: 실천이 중요하다. 강의를 듣고 단기/중기로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정리하고 해보자.


==========================================================================================


2강.

- 결국 이 강의를 듣는 목적은 노후 준비이다. 노후 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 내게 필요한 은퇴 후 노후 자금을 계산해봐야겠다. 이 목표 금액이 정해지면 목표 수익률과 투자 기간도 잡을 수 있으므로 자산가가 되겠다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다르게 봤던 점은 은퇴 시기를 늦출 수록 나에게 유리하다는 점이다. 원래는 '빨리 돈을 많이 벌어서 빨리 은퇴해야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은퇴 시기를 늦출수록 필요 노후 자금이 감소하고, 또한 추가 소득이 발생하므로 추가 투자금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 의외였다.

- 기본 중 기본이지만 항상 명심해야 할 것 ; 돈을 버는 것보다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투자는 종잣돈이 있어야 하므로 돈을 모을 줄 알아야한다. 버는 것보다 소비를 줄여 효과적으로 투자금을 확보해보자.

- 부자의 공식은 노동이 아닌, 자본이 돈을 벌게하는 것이다. 즉, 자본주의에서는 소유권이 있는 자산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명심하자.

- 앞으로 해야 될 것 1) Long work: 은퇴 시기를 늦추자. 10년이면 노후 자금 확보에는 충분한 기간이다. 빨리 가려 하지 말고 차근차근 꾸준히 나아가자 2) Early start : 빨리 시작하자.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투자기간에 따라 모이는 금액이 다르다. 오랫동안 꾸준히 하는 것도 수익률만큼이나 중요하다. 3) Double Income : 맞벌이를 하자. 또는 부업을 하자. 소득을 늘려 돈을 빨리 모아야 투자 시작을 시작할 수 있다. 년 최소 2500만원은 모으자.(그만큼 소비를 줄이는 것도 연습하자)

- 30~40대 : 1년에 한채씩 전세 만들기

-> 전세금이 오르는 시기가 오면 내돈 + 전세금으로 투자금을 만들 수 있다. 욕심을 버리고 전략을 잘 세워서 장기전을 할 수 있게 준비하자. 특히 처음 3~4년이 앞마당도 없고 당장 수익화도 되지 않아 버티기가 힘든데, 멀리보며 나아가자.

- 집값이 떨어져도 팔지 않으면 손해가 아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전세금이 오르냐?이다. 집값이 떨어져도 전세금이 오르면 투자금 회수 및 추가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 취득하면 risk를 관리하며 오래 가져갈 방법에 대해서만 집중하자.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

: 노후 자금 계산해보자 + 앞으로 내가 벌 수 있는 자금 및 필요로 하는 소득을 계산해보자

: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보자

: 첫 주택 구매 시기를 잡아보자(목표이므로, 앞으로 강의를 들으며 구체적인 계획과 시기를 잡아보자)


==========================================================================================


3강 후기

매일 조금씩 가는게 중요하다

항상 꾸준히 하는게 중요


인생계획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

인생 계획이 없으면 전략이 있을 수 없고 결국 실행도 할 수 없다

따라서 인생 계획을 세워야 한다 


목표는 인생의 나침반과 같다. 목표가없으면 무의식적으로 일생에만 충실할 수 밖에 없고 그럼 부자가 될수 없다

목표는 세우려면 비전보드를 만들자. 먼저 마인드맵으로 내가 원하는 삶을 그려보자. 그리고 전략을 세우자 보통 프로세스는 종자돈모으기-캐쉬카우만들기-시스템만들기-내집마련-부채탕감-경제적 목표 달성 이다.

하지만 대부분 이렇게 하지 않고 나도 그렇게 안했다. 부모님이 지원해주신만큼 나는 나만의 자산을 처음부터 만든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준비해보자 


전술은 시간 돈 을 관리하는 것이다 동료와 함께 멀리 꾸준히 가자

시간관리를 위해서는 시간가계부를 쓰자. 1시간 단위로 한것 중요도 긴급도를 기입하자. 그리고 그래프를 그리자 여기서 3사분면은 안해야되는 것이다

그리고 긴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하도록 신경쓰자 


매일 목실감을 써서 전날 대비 성장한 매일을 가져보자 


돈관리- 종자돈이 많을 수록 수익이 크다.

50퍼 이상은 선저축하고/지출은 고정하자. 여기서 저축금의 10퍼는 행복비용으로 남겨라

카드는 없애라(돈쓰기 쉬운 환경일수록 소비 제어가 어렵다)

그리고 소비와 투자를 구분하자(소비-쓰면 안돌아옴 투자-나가면 다시 돌아옴)

중요한거는 이를 가족에게 강요하지말고 나에게만 적용하자

위 계획을 세울때 가족과 충분한 타협이 필요하다 


우리가 종자톤을 못모으는 이유 5가지가 있다. 항상 경계하자 


3강은 투자의 기초를 다지는 방법과 중요성을 배울 수 있었다. 목표의 부재는 실행의 부재로 이어지므로 구체적인 목표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KR마일스톤을 사용해보자. 


전술로는 시간 돈 관리가 필요하다. 항상 돈관리는 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시간관리는 할 생각을 많이 하지 않았던것같다. 시간 가계부를 통해서 내가 시간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분별해보자. 

그리고 목실감을 통해 매일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 


비전보드/시간가계부/목실감

이 3개는 안해본거라서 시간이 좀 필요할것같은데 체계만 만들어 놓으면 매일 할 수 있을 것같다 빠른 시일 내에 양식을 만들어놓자



댓글


신규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