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이번 2025 실전준비반은 월급쟁이부자들에서 처음으로 유료 결제한 강의입니다.
제 닉네임 (55세40억)은 투자 목표를 가시화한 것인데요.
이번 1강 Ch5의 소액투자 사례를 비추어 보았을 때 10년 이상 ‘꾸준히’ 투자를 과한 취미로 삼는다면
40대에도 충분히 목표 자산을 축적할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겼습니다. (현재 30대 초반)
1년 전 쯤, 우연히 책과 유튜브를 통해 너바나, 너나위 님을 발견해 부동산 투자에 눈을 뜨게 됨에 감사를 드립니다.
이 강의가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인만큼 그 이상의 투자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열심히 할 예정입니다.
언젠가 제 사례도 월부에 Best Practice로 소개될 수 있는 날을 기대하며 :)
1. 인상 깊었던 점
1)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나’와 ‘시장 상황’을 동시에 파악해야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하다.
무조건 수익을 우선시 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오래할 수 있는 행복 추구형 투자 방식에 인간미(?)를 느꼈습니다..
2) 부동산 추이와 현상에 대한 이해도
특정 연도가 부동산 상승장이었는지 하락장이었는지를 아시는 것이 대단하고 부러웠습니다.
현재는 2011~2012년도와 비슷한 하락장 이후 흐름이라고 ‘절대적 저평가’ 시기라고 하셨는데
저는 아직 공부가 덜 되어 있어 시대적 흐름과 그 특징에 대한 공부도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방의 경우 전셋가가 하락하면 매매가도 하락한다는 인사이트를 얻게 되신 것이 대단하다고 느꼈어요.
강의를 통해 떠먹여주시는 정보들을 잘 캐치해서 잘 적용해보겠습니다.
3) 서울/수도권/지방 부동산 투자가 가능한 종잣돈의 규모를 정해주셔서 좋았어요.
제가 가지고 있는 종잣돈의 규모를 대략적으로만 알고 있는데 확실히 다시 체크해야겠습니다.
임장보고서를 매월 1개 이상 작성하면서 ‘아는 지역’을 늘려나가고
기회가 왔을 때 비교 평가/시세 트래킹 등을 통해 ‘최선의 선택’을 하고 싶어졌습니다.
4) ‘투자 이후 시나리오’, 특히 역전세를 염두에 두고 투자하기
시나리오의 상황들이 단번에 팍 이해되지는 않았지만.. 자료 저장해두고 해당하는 시기에 잘 꺼내쓰겠습니다.
2. 꼭 적용하고 싶은 점
1) 내 종잣돈 규모 정확하게 파악하기
2) 2000년~2025년 부동산 상승장/하락장 정리하기
3) 매월 1개 지역 이상 임장보고서 작성 ▶ 2025년 최소 9개 앞마당 확보 ▶ 첫 투자는 ‘가장 좋은 것’으로 매수하기
+ 강의를 들으면서 아쉬운 점도 있었습니다.
1주차 강의의 Ch1을 열기까지 오프라인 강의를 녹화해서 온라인으로 해주는 지는 몰랐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오프닝 강의도 어떠한 Live 방송을 편집한 버전이라 ‘읭’스럽기는 했습니다)
Ch1에서 5까지 제목과 내용이 정확히 매칭되지는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Ch4 끝에서 말한 내용은 사실 Ch5와 이어지는 내용이라던지요.
물론 기업 입장에서는 오프라인 녹화본을 온라인에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겠지만,
온라인에 최적화된 강의가 아니고 현장 수강생들과 주고 받는 이야기들이 있어서 중간에 흐름이 끊기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예: “아까 ㅇㅇ에서 설명했듯이”라고 하면 Ch3에 있는 내용이 아니라 Ch2에 있는 내용이라던지)
오프라인보다 훨씬 많을 온라인 수강생들을 위한 온라인 강의도 생각해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40억님, 저도 비슷한 느낌을 받았음에도 별 다섯 개를 무지성으로 선택했던 걸 반성하게 됩니다; ㅎㅎ 이런 솔직한 리뷰가 월부를 더욱 발전하게 할 거라 믿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