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열심과 행복이 공존하는' 투자자 성로이입니다.
작년 11월 이후 지방 강의를 듣지 못해 제대로 된 앞마당을 만들지 못했었는데
감사하게도 기회가 주어진 저의 첫 지방투자 실전반 1강에선
잔쟈니 튜터님께서 지방 투자에 있어
지방 각 지역의 상황에 대한 정리와 왜 지방투자가 기회인지 설명해주셨고,
투자금에 따라 지방 소액투자를 생각하며 1년을 달려온 저에게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의 기준, 구체적 매수/매도전략, 로드맵 작성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잡아주셨습니다.
<BM>
인사이트
- 지방 아파트 특징은 실수요, 즉 전세가가 시장상황을 리드한다.
전세의 가격과 상황 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전세가에 어떤 영향을 줄지에 집중해야 한다.
- 투자에 있어 최고의 악재는 비싼 가격. 현재 지방은 가격 자체가 저렴하고, 전세가가 5~10년 전 전세가이기에 가치, 수요만 꾸준하다면 저평가 시장을 지나 가격이 오를 것이다.
-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연식이 지남에 따라 선호도가 떨어지고 이전 전고점을 넘지 못할 수 있고, 가수요가 안 낀다면 전세,매매가 함께 가기에 적절한 시기에 매도해야한다. 지방은 태생적으로 팔아야하는 것!
- 투자범위는 시장에 따라 달라지는 것.
절대적으로 싼 지금 시장은 우선순위 더 좁고 뾰족하게,
오르기 시작하면 할 수 있는 건 작아지지만 우선순위는 오히려 넓어짐
- 소액투자시 저가치 주의!(거주하기 어려운 단점이 크고 많다면 안됨. 21년 상승장에 전전고점을 못 넘은 단지X. 갭환수원리X)
투자전략
- 지방 구축 소액투자 → 까다로움(공급물량 부족, 신축 다 오르고, 구축이어도 거주수요 있고, 가격 싸) → 전세금 올려받기 보단 매도 후 시세차익 고려
- 생활권 애매한 외곽신축 투자 → 생활권에선 가장 좋아하는 신축 단지로, 학교/직장 등 거주수요를 끼고 있는 곳 우선
- 투자 로드맵 명확히.
기준에 따라 수익을 기다리고, 내 실력을 키워 포트폴리오를 계획하고, 리스크는 대응하며 가져가야 한다.
- 갈아탈 만한 저평가 물건을 손에 쥘 수 있다면 가장 좋은 단지를 고르는 실력이 성공적인 갈아타기의 핵심
2회의 열반스쿨 실전반을 거쳐 첫 지방투자 실전반에 임하는
저의 지방 투자에 대한 생각과 계획을 다시 정리해주시고
이번 한 달 성장하고, 1호기 투자를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해주신 잔쟈니 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4월, 짧고 촉박하게 느껴지지만 주어진 환경과 상황속에서 200% 성장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될까? 생각하고,
사고과정을 포함해 구체적으로 반복해서 질문하고,
조 활동 등 환경에서 나누며 나아가겠습니다.
목표와 환경!
올 해 6월 30일까지.
화이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