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1억 더 오를 아파트 임장, 임장보고서로 찾는 법
월부멘토, 너나위, 권유디,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 인상 깊었던 점 ]
절대적 저평가는 시기, 타이밍에 의해 결정되고 현재는 절대적 저평가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상대적 저평가는 물건을 비교해서 고를 수 있는 투자 실력이고, 내가 노력해서 쌓아갈 수 있는 부분이다
가치있는 물건을 저렴하게 매수하는 것, 투자를 하고 기다릴 수 있는 힘
모두 투자에 대한 높은 이해도 즉, 투자실력을 의미한다
전세 레버리지 투자를 갭투자로 오해하지 말 것
갭투자로 적은 투자금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가치 판단의 눈을 기를 것
투자실력 = 아는 게 많다 = 앞마당이 많다
대부분의 분야가 많이 알기 위해 책을 읽고 공부를 해야 한다면
부동산 투자는 직접 걷고 땅을 밟아야 "알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집 밖으로 나가는 실행과 행동이 중요한 듯 하다
엉덩이가 무거워야 하는 다른 공부들과 달리 부동산은 엉덩이가 많이 가벼워야 할 듯 싶다 (갑자기 자신이 생겼다)
사실 처음에는 너무 발로 뛰는 공부라 많이 놀랐다
약간은 너무 비효율적인거 같은데…란 생각이 들었고
첫 분위기임장 이후에는 앞으로 계속 이렇게 걷는 거 실화….? 하면서 고민에 빠졌다
내 다리가 “주인님아 살려죠 갑자기 왜 이러는 거야ㅠㅠ” 라고 비명을 지른다
그러나 더 확실하고 좋은 방법을 당연히 알 리가 없다.
가치투자의 대가인 워렌버핏은
이렇게 발로 뛰는 가치평가 방식을 선택하진 않았던 거 같다
대신 기업은 재무제표, 사업계획 등 기업의 가치를 대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했고
앞으로의 비전과 사람들의 선호도를 숫자로 표현해주기에
책상에 앉아서 가치평가가 가능했던 거 같기도 하다
부동산은 사람들의 선호도가 가격에 반영되긴 하지만
부동산도 관리실도 기업과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하려는 노력이 없어서
내가 직접 알아보는 수고가 필요한 듯 하다. 말이 없는 시멘트 덩어리 아파트…
아직 완벽히 납득하지 못했고 솔직히 자신도 조금 없어졌지만
일단 처음이니까 익숙해지는 데 초점을 둬야겠다
강의 들을 때까진 분명 자신감 넘치고 잘할 수 있을 거 같았는데…
역시 뭐든 해봐야 알 수 있는 거 같다. 들을 땐 쉽고 해보면 어렵다
이러다가 떠나는 90프로에 속하고
무다리만 남으면 어떡하지란 생각도 들지만 일단은 고!!
댓글
태리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