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읽으면 단독주택에 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어요.
오늘은 단독주택 뜻 종류 조건 특징, 전부 정리해서 알아볼게요.
말 그대로 한 집이 단독으로 땅 위에 지어진 집.
여러 세대가 사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이 아님. (x )
등기상 한 세대 단독 소유로 간주되는 주택. (o )
물론 다른 사람이 세입자로 들어올 수 있어요.
그러나 건축법상 단독주택은 여러 독립된 세대가 한 건물 안에 있어도
소유자 기준, 하나의 주택으로 봐요.
(즉, 등기상 세대수는 나타나지 않고 한 세대로 보이지만 내부는 여러 세대로 나뉠 수 있어요.)
소유주는 여러 명이어도 상관 없어요. (공동 소유도 가능!)
중요한 건 거주하는 세대 수가 하나여야 해요.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마당 있는 집.
도시에도 판교 등 신도시에 가면 보이는 도시형 단독주택이 있어요.
세대별로 주방, 화장실이 따로 설치된 집.
그래서 함께 살지만 독립된 생활이 가능해요.
한 집인데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칸을 나눴을 뿐,
등기에는 아까 말한 것처럼 ‘한 세대’로 되어 있어요.
여러 세대가 역시 살 수 있지만
다가구주택과 달리 주방, 화장실이 공동이에요.
우리가 생각하는 공동구역이 있는 원룸, 고시원 등이
다중주택에 포함돼죠.
불편함을 감수하면 주거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분류 | 정의 | 기준 |
---|---|---|
일반 단독주택 | 1세대가 거주하는 주택 | 면적·층수 제한 없음 |
다중주택 | 여러 세대가 공용 부엌/화장실을 사용하는 구조 (주로 고시원, 공동원룸) | 연면적 330㎡ 이하, 3층 이하 |
다가구주택 | 여러 세대가 각각 독립된 주거공간을 사용하는 구조 (주방/화장실 분리, 주로 빌라형) | 연면적 660㎡ 이하, 3층 이하, 세대 수 19세대 이하 |
단독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면
보통은 주택건물 외에 땅까지 ‘내 것’인 경우가 많아요.
관리, 유지보수를 스스로 해야 하고
주차나 관리비도 내 책임이라
손이 많이 가요.
연령대가 아주 높다면 생활이 어려울 수 있어요.
하지만 층간소음이 없고 자유로운 생활이 가능하죠.
그러니까 단독주택은
나만의 공간이 필요한 사람,
또는 땅값 + 건물 자산까지 보고 투자하려는 사람에게
상대적으로 맞는 형태일 수 있어요.
한 건물에 단 ‘1가구’만 거주하는 집이에요.
세입자는 가능, 하지만 등기상 ‘한 세대’만 있어야 해요.
공동 소유는 가능, 중요한 건 거주 세대 수예요.
일반 단독 / 다가구 / 다중주택이 포함돼요.
다가구는 독립 생활 가능, 다중은 주방·화장실 공동!
토지+건물 자산을 함께 보유하는 경우가 많아요.
관리 부담은 있지만, 층간소음 없는 자유로움이 장점이에요.
오늘은 단독주택 뜻 종류 종류별 차이점 조건 특징까지.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봤어요.
부동산에 관심을 막 가지기 시작한 분들께,
한입 거리의 가벼운 재테크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입 거리 재테크 정보 이어서 보기
댓글
오호 단독주택 개념 꽉 잡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단독주택 정리 감사합니다!!
단독주택의 개념이 있었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