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전세끼고 집을 매수함에 있어서 망설이는 이가 질문을 합니다.

  • 25.04.20
  • 93

 

 

 

안녕하세요!! 지니하나입니다. 

월부 덕분에 제동생 잘 집 4월 10일에 에 잔금까지 잘 진행이 되었습니다.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넘 기쁘고 월부가 함께 했기에 가능했다고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이제 동생집 잘 마무리하고 제 집을 정리를 해볼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세를 끼고 집을 매수함에 있어서 앞으로 3년간 공급이 없어서 전세가 귀해지기 때문에 전세 맞추기 어렵지않다는 것을 이해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매년 5%정도만 시장보다 적은 금액으로만 전세금을 올려야한다는 것도 이해했습니다. 

다만, 그 다음에 3~4년 뒤에 집을 계속해서 보유하기 위해서 역전세도 맞을테고 전세가 안 구해지고 하는 일들이 

있을 경우 제가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다 그려지지 않아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전세가 안 구해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잘 못 된것인가요? 주변에서는 그럴 일이 없다고 하는데요..

전세를 맞추어 본 적이 없어서 이런 상황을 가정하는 자체가 잘못된 것일까요?

 

 

@ 전세끼고 집을 살 때 
전세가 안 맞추어지면 방법이 아래 두 방법 말고 또 있나요?


1. 집담보 대출을 내서 전세자금을 내어준다.
2. 내가 살고 있을 전세집(전세3억)을 빼고 집담보대출(제가 월감당 가능하여 대출가능금액은 최대3억) 내서 내가 들어가 거주한다.

 

@ 아래 아파트에서 제가 직접 들어가서 거주도 할 수도 있는 방법까지 가능한 집으로만 선택을 해야하나요?
1번 집은 포기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1번 집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1번집도 잡을 수 있다고 맘을 

먹을 수 있는지 질문 드려봅니다. 

 

1) 17억 매매/ 전세가 10억 /매전 7억
2) 13억 매매/ 전세가 6억 / 매전 7억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5


험블user-level-chip
25. 04. 21. 08:48

지니하나님 안녕하세요 :) 일단 동생분 집 잔금까지 잘 마무리 하신 것 정말 정말 축하드립니다! 전세가 안 맞춰지면 꼭 직접 들어가서 거주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말씀하신 방법처럼 주택담보대출 등을 활용해서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고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면 됩니다. 현재 말씀해주신 17억, 13억 매매가의 주택이라면 높은 확률로 서울 내에서도 가치가 있는 집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즉 사람들의 수요가 많은 곳이기에 적정한 가격과 상태라면 전세가 크게 안 나갈 일은 없어보입니다만 언제든지 대비는 하셔야 하기 때문에 위에서 말씀하신 주택담보대출 (전세보증반환대출 등) 등의 상품을 미리 알아두시면 도움될 것 같습니다! [세입자 퇴거 조건부 주택담보대출] 세입자가 퇴거할 때 전세 보증금을 반환해야 하는 조건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방식. [임차보증금 반환자금대출] 임차인에게 임대보증금을 반환하기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한 대출 상품.

준삭스user-level-chip
25. 04. 21. 17:06

안녕하세요 지니하나님! 매수 축하드립니다. 오랫동안 보유하는 것에 대한 역전세, 잔금 걱정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1. 역전세에 대해서 - 미래는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매수한 지역 주변에 큰 공급이 없고, 규제(전세대출, 금리인상 등)가 있지 않는 이상 갑자기 역전세 나기는 어렵습니다.(과거 시장을 봐도 비슷합니다) 그리고 전세금을 과도하게 올렸을 때 그만큼 하락할 수 있는 것이지, 지니님처럼 5%씩 올리게 된다면 물가상승보다 더 조금 올려받는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역전세 위험은 많이 없어집니다. 전세는 부채입니다. 과도하게 올려받은 만큼 내줘야 하는 것도 커집니다. 그래서 지니님께서 역전세가 두려우시다면 5%씩만 올려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2. 전세가 맞춰지지 않았을 때 - 보통 이사를 할 때 계약 날짜대로 나가는 경우도 있지만, 새로 들어올 점유자와 이사 날짜를 맞추어 일정을 조율합니다. 그리고 말씀해주신 단지들은 수도권으로 보이는데, 전세가 쉽게 구해지지 않을 시에 험블님 말씀처럼 세입자 퇴거 대출 또는 전세 보증금 조정(시세보다 낮게)을 하게 된다면 충분히 대비가 될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매수 축하드리며, 좋은 자산을 잘 지켜나가시길 응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구나나user-level-chip
25. 04. 22. 10:54

안녕하세요 전세에 대한 질문에 공감이 가서 답변을 남깁니다 1) 전세를 못맞출 경우 이 경우를 대비해서 세입자 동시계약, 세낀집, 주전이 되는 집을 찾습니다. 2) 나중에 역전세가 발생할까 지금은 잘지나가지만 추후에 역전세가 발생할까 걱정한다면 매수시에 단지선호도와 매수하는 집상태를 꼼꼼히보고 보증금을 5%이내로 올리면서 세입자들이 좋아할만한 상태로 만들어둡니다 3) 그럼에도 세입자를 못맞출 경우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줄 수 있는 대출을 미리 알아보고 동시에 투자금이 좀 더 들어가더라도 전세금을 확 낮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세입자들에게 가장 중요한것은 전세금 수준입니다. 투자자에게 역전세는 피할수 없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두고 예측할 수 없는 부분은 대응의 영역에 남겨서 하나하나 해결하겠다는 마음이면 집을 보유하는데 충분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