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월급 300 직장인이 부동산으로 부자되는 법
월부멘토,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친구의 추천으로 부동산 용어, 투자 방법 등 기초부터 배워보자고 생각하여 시작한 열반스쿨 강의다.
사전 강의 신청을 하고, 강의 결제 D-day, 월부의 홈페이지가 렉이 걸리는 순간,
아 이건 보통아니구나, 엄청난 무언가가 있음을 실감하게 되었고, 그렇게 나의 열반스쿨은 시작되었다.
부동산으로 돈을 번 사람들은 어떤 시스템으로 얼마나, 어떻게 성공을 하였을까
그리고 나는 어떻게 부동산에 접근해서 시스템을 구축해나가야하며, 궁극적으로 부동산을 통해
어느 정도의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 싶은가에 대해 1강부터 나 스스로에게 많은 질문과
현재의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강의였다.
막연하게, 그리고 뜬구름 같은 이상향으로 월부를 결제하고 '나 부동산 공부 시작했어' 였는데,
주어진 과제부터가 노후 자금 설계를 위한 필요액수, 수치화하여 구체적 목표 세우기,
세우기 위해 가져야할 습관, 노력은 무엇인지 등이었다.
아.. 가볍게 생각하고 들을게 아니라, 너바나님의 투자 사례, 정보를 적극적으로 익혀서
실천을 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느꼈다.
나도 후에 누군가에게 나눠줄 수 있는 giver가 되어보자.
그리고, 나도 경제적 자유를 이루어보자!
나같은 월급쟁이들은 지금 현실적으로는 LED 노후 준비 해법을 잘 따르고 실행해야 한다.
L (long work) : 오래 일을 하여 최대한 은퇴시점을 미루자
E (early start) : 노후를 위한 준비를 일찍 시작하자
D (double income) : 맞벌이를 하자
30대 초반인 지금 월부 강의를 듣고(E), 남편과 열심히 맞벌이를 하고 있으니(D),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전까지는 사표를 품에만 품고 있어야겠다.
부동산으로 돈을 버는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지금은 그만 둘 때가 아니다.(L)
월부에서 첫 강의, 그리고 첫 주의 3강을 듣고 벌써 투자를 하고 싶은 열정이 솟는다.
투자를 하기 위한 종잣돈의 중요성도 알려주셨는데,
저축은 소득의 50%를 하고 신용카드보다는 체크카드로 관리하라고 하신 말씀에 매우 뜨끔했다.
신용카드 연회비에 얼마나 많은 돈을 내고 있는지 내가 과연 저축은 얼마나 하고 있는지 다시금
생각하고 깨닫는 시간이기도 했다.
이제 막 걸음마 뗀 신생아?지만, 일단 시작했으니 2024년에는 계약서에 도장을 한 번 찍어볼 수 있게
나머지 강의도 열심히 듣고, 조모임도 열심히 참석해서 투자의 첫 걸음을 내딛어 보고싶다.
아니 내딛을 것이다!
댓글
화이팅!💪🏻😊
화이팅입니다 :)
주니어님 한달동안 빠이팅합시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