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유를 사기위해 한발짝씩 성장하고 있는 쪼코파이a입니다.
2024년이 지나고 , 2025년이 되면서
서울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현 분위기에서.
외지인 비율이 꾸준히 늘고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실제 제 주변에도,
지방 거주하시는 많은 분들이.
실거주 또는 투자해놓은 아파트를 매도 후
많이 떨어져있는 서울 아파트로 갈아타기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지방 역시도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는
좋지 못한 지금. 과연 갈아타기를 하는것이 맞는걸까?
서울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사이클를 확인해보면서
그 기준점들을 확인 해보겠습니다.
먼저, 서울과 대구의 과거 가격지수를 살펴 본다면
두 지역의 가격변화 사이클이 상이하게 움직인다라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확실히 지방과 서울수도권의 가격의 변화가 다르게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큰틀에서 살펴보았다면 조금 더 안쪽으로 들여다 보면서,
과거 투자시점에 어떤 결과를 나타냈을지를 보겠습니다.
CACE 1) 현재 대구의 신축을 서울 구축 갈아타기는 괜찮을까에 대한 기준.
CASE 2) 현시점 서울의 구축 90년대 아파트가 아닌, 연식과 입지가 더 좋은 단지를 택했을 때,
과거 역시 이와 같이 투자를 진행한 결과는 어땠을까 ?
CASE 3) 반대로 조금 덜선호되는 급지(지역)에서의 구축을 한다면 다른 결과를 나타낼까?
이렇게 3가지 케이스별로 단지별 비교를 통해서 가격 변화 사이클을 알아볼수 있었습니다.
서울과 대구의 사이클에 대한 생각.
우선 서울 수도권과 지방의 가격변화의 사이클은 다르게 흘러가면서 우상향을 하고 있다라는 점이며
지방의 사이클 주기는 더 짧게 반복이 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난다라는 점입니다.
그런 특징을 고려 했을때, 대구 역시 현재 많은 공급으로 매/전 가격이 절대적 싼 구간 인 지금,
무조건 서울로 갈아타기만이 정답일까?
IF 만약 저라면,
3가지를 고려해볼꺼 같습니다.
1. 매도 후에도 수익구간인가?
2. 매수 할 단지가 더 높은 가치인가?
3. 장기보유 할수 있는가?
갈아타기로 더 좋은 자산을 가질 수 있지만
반대로 좋은 자산을 싼 가격에 처분하는 결과도 나타낼수 있다란 것을 주의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쪼꼬님, 진짜 머리 복사해서 제 머리로 옮기고 싶습니다!! 항상 좋은 인사이트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와 쪼코님 서로다른 싸이클을 가진 지역에서의 갈아타기에 대한 인싸이트 감사해요 ^^~~ 과거 시점에 어땠을까?로 시장을 복기해보는 것도 재미있네요!
오 갈아타기 궁금했는데 이렇게 정리하니 좋군요~!! BM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