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준67기 우리는 자산 40억이 체질이조_알바] 3주차 강의 후기 - 강의만 듣는다고 실력이 느는 것은 아니다

실전준비반 - 1억 더 오를 아파트 임장, 임장보고서로 찾는 법

 

1. 임장보고서는 왜 써야하고 임장은 왜 가야하는가?

 

우리의 최종 목표는 매수하고서 믿음 가지고 지켜낼 수 있는 후회없는 매물을 찾아내는 것이다.

물론 매수 후 후회가 남을 수도 있지만 배운대로 충분히 노력해서 찾은 나의 매물은 왜 샀지라는 정도의 매물은 아닐 것이다.

저환수원리에의해 입지대비 저평가되고 충분히 환금성이 있는 제품을 내가 할 수 있는 가능한 비교평가에의해 발굴된 매물이라면 하락기에도 충분히 믿음으로 지켜낼 수 있는 자산일 것이다.

그러기위해 지역과 그 지역의 아파트들을 분석한 뒤 임장보고서에 기록하고 

모니터 안의 지도와 사진으로만이 아닌 임장을 통해 실제 아파트와 그 아파트를 둘러싼 환경을 내 눈으로 직접확인하는 것이다.

그렇게 내 손과 머리로 분석한 정보와 내 발로 확인한 매물은 실패할 수 없을 것이라 믿는다

 

 

2. 강의는 왜 들어야 하는가?

 

강의는 나보다 앞서 시행착오를 거친 선배들이 나에게 알려주는 지름길의 지도와 같다.

그 분들이 먼저 경험하고 불필요하게 낭비될 수 있는 에너지를 좀 더 효율적,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이드와 같은 것이다.

가령, 투자하려는 지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보를 참고해야 하며

그 지역의 아파트 정보는 어떻게 찾아볼 수 있으며

실제 현장에 가서 어떤 부분들을 체크해야 실질적으로 효과적인지 알려주는 교과서와 같은 것이다.

 

 

예를 들어서 서울에서 아파트의 가치를 측정하는 기준 중의 하나는 업무지구 그 중 일자리가 가장 많은 강남으로 얼마나 빨리 도달할 수 있느냐이다. 

A아파트와 B아파트가 있는데 A아파트가 좀 더 강남과 가까운데 실제 아파트의 가격은 강남 보다 좀 더 먼 B 아파트가 비싸다. 왜? 이건 배운거와 틀린거 아닌가? 답은 A 아파트의 주위 환경이 유흥 시설이 많아서 좋지 않아서이다.

강남 접근성인 교통이 중요하지만 그 다음으로는 환경이 중요한 것이다.

즉 단 한가지로 판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여러가지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이고 이 판단 기준들을 배우는 것 강의이다.

게다가 여러가지 실전적인 팁들도 얻을 수 있다.

가령, 실거래가 보다 네이버 호가가 낮고 여러 부동산에 매물이 나와 있다면 이 물건은 정말 급한 물건이다.

이건 오랫동안 부동산 데이터를 보고 실제 여럿 건의 거래의 경험을 통한 인사이트에서 나올 수 있는 정보들이고 우리는 강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들이다.

 

 

3. 앞으로 어떻게 해야만 하는가?

 

배우기만 하면 그냥 공부로 끝나지 않겠는가?

강의만 듣는다고 실력이 느는 것은 한계가 있다.

실제로 움직이고 결과를 만들어내야 한 차원 높은 실력이 쌓여갈 것이다.

 

결과가 빨리 나올 수도 늦게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빨리 간다고 꼭 좋은 것만은 아닐 것이다.

조금은 늦더라도 제대로 알고 제대로 실력을 쌓아가면 언젠가는 결과는 나올 것이다.

힘들다고 중도포기하면 아무런 결과도 생기지 않는다.

그러기 위해서는 버티고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 그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내가 배운것 내가 힘들엇던 것이 그제서야 보상 받을 수 있기때문이다.

 

 

 


댓글


알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