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실전준비반 4주차 강의에서는
임장보고서의 결론인
“어떤 물건에 투자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배웠습니다.
어떤 단지에 투자할 것인가?
4주차 과제는 임장보고서를 완성하는 건데요,
그러려면 매물임장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
“아 나는 완성 못하겠구나!”라는 생각부터 들었습니다.
매물임장은커녕 부동산에 전화할 용기도 없으니까요.
그리고 용기가 생겨서 부동산에 전화를 한다고 쳐도,
어떤 단지를 물어봐야 할지 전혀 모르겠더라고요.
이번 강의를 통해 단지임장에서 매물임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임장지역에서 투자 범위안에 들어오는 가치 있는 단지들을 고른다.
단지의 가치와 가격을 확인하고(단지분석) 저평가된 단지를 찾는다.
내 투자금에 맞는 단지들을 찾는다.
매물 임장 후: 감당 가능한 물건을 찾는다
→투자우선순위를 정한다.
결국 앞서 작성한 임장보고서를 토대로 어떤 물건을 볼 것인지 판단하면 된다는 걸 배웠습니다.
쓰고 나니 엄청 당연한 말처럼 보이는데…
분임, 단임과 입지분석, 시세조사, 단지분석 등
거쳐 온 모든 과정이 결론을 향해 가는 필수과정이었다는 걸
이제서야 이해한 것 같습니다.
임장보고서를 차근차근 쓰다 보면…
임장 지역의 입지가치를 알게 되고
>각 생활권의 우선순위를 알게 되고
>생활권 내 가치 있는 단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가치=위치와 주변 인프라)
>그 안에서의 선호도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을 거쳐야 저평가를 판단하고 저평가를 확신할 수 있다.
저평가를 확신해야 투자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자 물건을 고른 뒤에는 저환수원리에 맞는지 확인하고
그것까지 통과되어야 진짜 투자로 이어진다는 부분도 인상깊었습니다.
투자 범위와 투자 후순위
4주차 강의에서 크게 와닿았던 부분은
“투자 범위”와 “투자 후순위”라는 말이었습니다.
저는 만일 투자의사결정의 순간이 온다면
“이게 최선이 아니었다면 어쩌지?”
“잘못된 선택을 하면 끝난다.”
라는 생각이 들 것 같다는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강의를 통해서 “투자 범위”에 들어오는 가치 있는 단지라면 망할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고,
더 좋은 A물건 안 하고 덜 좋은 B물건에 투자했다고 잘못한 게 아니라는 걸 배웠습니다.
투자해서는 안 되는 저가치 물건이 아니라 “투자 후순위”였을 뿐이라는 걸 생각하면
두려움을 다스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초보인 제가 지금 당장 마주하게될 문제는 아니지만…
그래도 마음 속 깊이 항상 존재하던 의문을 풀 수 있었습니다.
지금 투자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
저 같은 사람이 지금 투자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목표를 향해 걸어나가는 힘을 기르는 것입니다.
그렇담 내가 투자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돈 너머에 있는 게 무엇인지 수시로 리마인드 해야할 것 같아요.
그리고 투자를 “하고 싶은 일, 해야 하는 일”로 인식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렇게 인식하고 있다면 상황이 어떻든, 내 마음 상태가 어떻든
목표 달성을 위해 행동하고 투자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지금 매물임장을 못 한 상태라 보고서를 어떻게 마무리지을지 막막하지만,
매임이 안 된 상황에서도 결론 낼 수 있는 방법을 뒤져서 찾아야겠어요!
그리고 꼭 주말 내로 완성하겠습니다.
완성하고 싶고 완성해야 한다!
자음과모음님이 강의에서 하신 말대로,
이와 같은 마인드가 꼭 투자에만 해당되는 게 아니라
삶의 모든 부분에 적용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에게 필요한 지식과 교훈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나 액션은 해내는 사람이다
난 한다. 해낸다. 된다.
댓글
액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