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원하는 교육 환경에 필요한 재정 상황을 규정하고 역으로 구성하여 상대방을 설득하자!
[재테크기초반 7기 16조 실천부자] 재테크기초반 뽀개봅시다!!!
저는 직장에 다닌지 20년이 넘었고 결혼 16년차인데, 재테크는 고사하고 저축 또한 제대로 해보지 않았습니다. 너무 부끄럽네요. 한 달 들어오는 월급 아무 생각 없이 소비하기를 20년…… 이제 정년까지 남은 기간이 20년이 되지 않기에 남은 기간 제대로 아끼며 10억을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 재테크 기초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오프닝 강의에서는 5가지 사례를 들어 말씀해 주셨는데 저의 경우와 사례를 대입해 보겠습니다.
첫째, 빚 상환이냐, 갚지 않고 투자(저축)하느냐 항상 고민했던 부분인데 사람에 따라 다르다.
돈만 없는 경우에는 저축해서 투자금으로 활용하고, 돈과 투자 대상(지식, 확신)이 없는 경우에는 대출 상환하거나 준비 후 투자해야 한다. 저는 아직 현금이 없지만 투자 지식과 확신이 없기에 대출을 상환하면서 1억 모으기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둘째, 혜택이 명확한 신용카드도 잘라야 하나?
Yes!!, 자잘한 것에 신경 쓰지 말고 신용카드 사용하는 것 자체가 합리적이지 않다.
저도 신용카드 여러 개를 사용하면서 이 카드는 이런 혜택이 있고, 저 카드는 저런 혜택이 있다는 핑계를 대며, 신용카드를 나름 잘 사용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기회에 과감히 신용카드를 없애는 행동을 실천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셋째, 배우자와 서로 생각하는 방향이 다른 경우 상대방을 설득해야 할 때 (자년 있을 경우) 원하는 교육 혼경에 필요한 재정 상황을 규정하고 역으로 구성한다.
배우자와 경제 관리를 따로 하며 제 월급은 전액 관리금, 보험, 식비 등 생활비에 월급 전부가 들어가고 있습니다. 배우자가 저를 경제적으로 신뢰하지 못해 합치지 못하고 있는데요. 위의 사례와는 다르지만 제가 먼저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목표 금액을 정한 뒤 목표 금액을 모으기 위해 얼마씩 모아야 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포트폴리오를 짜서 배우자를 지속적으로 설득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넷째, 실거주이냐, 임대용이냐는 내돈으로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집을 산다.
저는 실거주 1채가 있고 부동산의 아픈 추억이 있어 부동산은 쳐다도 보지 않으려고 했지만, 너나위 님을 접하고 부동산으로 내 돈을 불릴 수 있겠다라는 조금의 희망이 생겼습니다.
다섯째, 다양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OTT 구매는 해당 사항을 보는게 아니라 활동비 예산 안에서 결정한다. 불필요한 활동비를 줄이기 위해 현재 시청 중인 기간이 끝나면 별로 구매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통장 쪼개기 시스템 갖추기까지 1년 넘게 걸리고, 현금 흐름 하나하나 맞춰가며 통제하는 것도 어렵다. 통장 쪼개기 시스템이 나만 어려운건 아니구나, 정착까지 시간이 걸리니 자신감을 가지고 꾸준히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너나위님은 200만원 사용하고 1200만원까지(85%) 저축해 봤다고 했는데, 감탄이 절로 나왔습니다. 사실 지금 당장 55% 저축률을 달성하지 못할 것 같지만 배우자와 통장을 합친 뒤에 45% 저축률에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문제 보다는 목표를 바라보기. 자꾸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핑계를 대지 말고 목표를 위해 나머지 것들은 감수할 용기를 가져야 겠습니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속담처럼 시작이 힘들지, 이미 시작한 저는 너나위 님이 알려주는 시스템에 맞춰 저 자신을 변화시키며 제가 원하는 목표를 향해 달려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화이팅!!!
댓글
실천부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