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안녕하세요. 재테기 7기 47조 밝은사랑입니다.
1주차 수강 후기를 좀 뒤늦게 게시하게 되었네요.
저는 결혼한 지 얼마 안 된 신혼부부이며, 아직 자녀는 없습니다.
저희 부부는 둘 다 공공 부문 직장에 다니고 있고, 소득은 안정적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다만 지출 관리를 하지 못해 물처럼 새어나가는 돈을 통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제는 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살 수 없다”는 마음으로 이번 1주차 강의를 들었습니다.
💁가장 크게 와닿았던 내용 “개인 맞춤형 저축률 찾아가기”
저는 지금껏 저축/지출 비율을 잡을 때 매번 달라지는 월급 기준으로 계산하거나, 월말에 카드 내역을 정리하며 ‘이 정도면 괜찮나?’ 감으로 접근해 왔어요. 그러다 보니 늘 시간은 오래 걸리고, 계산은 제각각이라 비효율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강의에서 ‘연 소득 기반의 표준화된 기준’을 먼저 제시해주셨고, 그걸 중심으로 개인 맞춤형 비율을 찾아가는 방식을 알려주신 점이 정말 신선했습니다. 막연했던 재무 관리에 검증된 기준이 생기니, 처음으로 나도 할 수 있겠다는 설렘이 들더라고요.
또, 신용카드를 쓰고 있는 사람도 이 구조를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구체적인 설명이 있어서, 실생활에 바로 옮겨보기 좋겠다는 확신도 들었습니다. 그냥 원론적인 이야기만 나열한 게 아니라, "지금 내가 당장 눈 앞에 두고 겪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에 대한 해답이 주어졌다는 점이 가장 와닿았습니다.
💁통장 & 체크카드 세팅
이번 주말에 와이프와 이야기하고 아래와 같이 실행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액이 있었지만 결제해도 남은 잔고가 월급 이상은 되었기 때문에 곧장 체크카드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소득 파악) 각자의 표준 월 소득 파악
(※ 원천징수 영수증과 소득금액 증명원 등 국세청 자료 기반)
(테스트 기간) 한 달 간 55:45 비율로 생활비/활동비*/주거비/교육비/비정기 통장 분리
(* 활동비는 저 30% : 아내 70% 비율로 구성했습니다.→ 차량 운행 등 이슈)
(※ 이후 리뷰하고 비율 최적화)
(체크카드 마련) 생활비(1개), 활동비(2개), 주거비(X), 교육비(X), 비정기(X)
(※ X는 계좌이체)
(가장 주의해야 할 지출 항목 선정 후, 이를 기피할 1가지 습관 들이기) 외식비* & 옷 쇼핑**
(* 외식비 : 피곤해도 냉장고 체크)
(** 옷 쇼핑 : 사고 싶어도 옷장 체크)
💁핵심적으로 알아야 할 것
‘짧고 굵게 많이 버는 것’보다 ‘꾸준히 잘 모으는 것’이 초반에는 훨씬 중요하다는 것 (수비 → β 투자 → α 투자)
투자 이전에 저축 시스템이 잡혀야 한다는 것
신혼 생활의 단꿈도 좋지만, 미래를 준비하는 재무 설계는 현실임을 인지하고 의식적으로 행동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강의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기술이 아니라, 가치관과 생활을 정비하는 데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 둘의 인생을 스스로 책임지기 위해 이걸 꼭 해내야겠다.”
그 마음이 지금 제일 큽니다.
강의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너나위님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