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양파링, 프메퍼, 주우이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서기 1강 유디님 강의 후기입니다.
서울투자기초반을 반복해서 들어 오면서, 강의에서 말씀하시는 투자의 방향성이 조금씩 달라져 감을 느낍니다.
특히 이번 강의에서 인상깊었던 부분은 이제 전고점 대비 하락률을 보는 것이 의미가 없어졌다고 말씀해주신 부분이었습니다.
서울수도권 시장에서 좋은 물건들은 이미 어느 정도 가격이 올랐고, 오르지 않은 것들은 입지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건인 현 상황에서, 워스트는 그중 어느 것도 투자하지 않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즉 어떤 것이 더 버는 투자, 최고의 선택일지 고민하며 시간을 보내기 보다는 현재 비싸지 않은 적절한 가격(=전고점 이하)이라면 투자를 실행하는 것이 낫다는 것입니다.
물론 내가 가진 투자금 내에서 가장 좋은 물건을 찾기 위한 노력은 당연히 필요한 것이겠지만, 더 좋은 물건이 있지 않을까? 더 좋은 지역이 있지 않을까? 고민하며 결정을 미루기 보다는 내가 가진 앞마당을 다시 들여다보고 매물을 더 털면서 그 안에서 결정을 내리는 것이 현명할 수도 있다는, 어쩌면 저의 지금 상황에 대한 충고처럼 들리기도 했습니다.
투자 실행은 미루지 않되, 가격적인 측면에서 작년까지만 해도 싼 가격, 전고 대비 하락률을 얘기해주셨다면 이제 점점 가격보다는 가치에 집중하여 비싸지 않은 가격이면 매수를 진행하는 결단력에 대해 강조해주심을 느낍니다.
("애초에 서울 아파트는 싸지 않습니다.")
또한, 아직까지도 전고 대비 하락률이 높은 단지는 추후 상승장에서도 상승폭이 높을거란 보장이 없다고 말씀해주신 것도 인상깊에 다가왔습니다.
즉 아직까지 하락률이 높은 것은 물론 정말 싼 가격인 것도 맞지만 그만큼 전고점 수준을 회복한 단지들보다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기에, 전고 대비 하락률에 매몰되지 않고 투자금 내에서 가장 좋은(=가치가 있는) 물건에 투자하는 것이 맞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유디님께서 특히 ‘위치’에 대한 강조를 해주셨는데요, 요즘은 입지보다도 위치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낀다고 하는 부분이 새롭게 들렸습니다.
그렇다면 위치가 좋지 않지만 상품성이 좋은 단지와 생활권과, 위치가 좋고 상품성이 덜 좋은 단지와 생활권의 비교 시 어떻게 해야할지, 지역별로 다르니 결국 단지대 단지로 봐야할지. 위치의 가중치를 얼마나 더 주어야 할지. 조금 헷갈리기도 했습니다. 이번 임장지 내에서 두 단지를 비교할 때 강남까지의 거리를 꼭 찍어보고 비교하는 부분은 적용해보아야 겠습니다.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유디님!!
댓글
콘소메님 강의를 제대로 흡수하신 것 같아요~~ 비교평가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