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전쟁이 미국 내 제조공장의 무인자동화 추세를 가속화시켰다. 이른바 다크팩토리 열풍에 한국 공작기계 및 산업용 로봇 기업의 2024년 1분기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위 기사는 관세 전쟁과 같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제조기업들이 무인화와 자동화를 선택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물론 다크팩토리라는 개념 자체가 관세 전쟁이라는 단일 사건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고, 인건비 상승, 기술 발전, 인구 구조 변화 등 시대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진전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관세 이슈가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한 촉매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은 설득력이 있다.
원래 제조업 대기업이 한 지역에 들어오면, 사람들의 유입이 증가하고 일자리가 생겨나며 부동산과 지역 상권, 학군 등이 활기를 띠게 마련이다. 그런데 로봇이 인간 근로자를 대체하게 된다면, 이런 선순환 구조가 유지될 수 있을까? 공장 자체는 들어서지만 정작 사람은 줄어드는 모순적인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는 곧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연결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자동화가 반드시 일자리를 줄이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오히려 로봇을 설계하고 유지·보수하는 고숙련 기술자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팩토리들은 도시 고도화와 함께 고소득 인력 중심의 주거 수요를 발생시켜 부동산 시장에 다른 방식으로 활력을 줄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다크팩토리로 인한 지역 경제의 침체는 단선적으로 보기 어려운 복합적 문제이다. 향후 우리나라 제조업도 미국처럼 무인화 공장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이에 따른 사회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일자리를 잃게 되는 계층을 위한 재교육 시스템, 직업 전환 지원, 사회안전망 강화 등의 정책적 대응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기본소득'이라는 아이디어도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른다. 로봇이 대부분의 일을 대신하게 되는 시대에는, 사람들이 소비의 주체로서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소득 보장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본소득은 막대한 재정 지출과 지속 가능성 문제로 인해 여전히 논쟁 중이다. 오히려 지금은 노동의 미래를 중심으로 보다 다양한 방식의 대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결국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우리는 기술 발전이라는 거대한 흐름 앞에서, 사람의 자리를 어떻게 다시 정의할 것인가?
무인화가 인간을 배제하는 미래가 아닌, 인간을 보완하고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려면 지금부터 그에 걸맞은 사회적 상상력과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댓글
레츠두잇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