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1강 강의후기 _ 방랑미쉘님 [열반스쿨 중급반 31기 19조 - 온느]

  • 23.09.02

23.09.02.

월부 세번째 강의인 열반스쿨 중급반.

언제나 강의 듣는 건 재밌어서

개인적으로 10월달에 아주 중요힌 행사가 있지만,

임장보다는 독서과제가 해볼만하지 않겠어? 생각하고

난 투자자될거니까 쿨하게 열반 중급반 GO!

닉네임만 들어보았지만,

처음 온라인에서 실물을 보는 방랑미쉘님 쓰앵님.

차분차분하게 딱-딱-딱 짚어주어주셔서,

투자하는데 있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감을 익힐 수 있게

도와주시는 것 같았다.

이렇게 까지 보기 좋게 정리해서 떠먹여주신다고....?

(강의하시면서, 제발 임장을 가세요.... 이런 마음이실듯)

첫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위해 애쓴 강의같았다!

대략적으로 수도권/지방 별로 얼만큼의

투자금이 드는지, 어떤 지역적 특성들이 있는지,

어떤 기준으로 투자를 하면 되는지,

실전 투자사례에서 어떤 마음가짐으로 행동할 수 있었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시니,

교재 순서에 따라서 한 스텝씩 행동해나가면 좋을 듯 하다.

​와닿았던 점들과 숙지해야할 정보들!

<초보투자자가 첫 투자 반드시 성공하는 법!>

* 나에게 맞는 투자처를 찾아보자

- 현재 보유 투자금은 얼마인가?

- 1년에 투자금을 얼마씩 모을 수 있는가?

- 투자 공부를 주에 20시간 정도 할 수 있는가?

(평일 5일은 4시간씩 추가 공부시간..

직장인이라면, 칼퇴후 매일 공부!)

- 주말에는 임장 등 시간 분배가 가능한가?

- 자산 목표는 무엇인가?

* 어떤 기준으로 투자할까?

- 매매가는 싼가?

- 입주물량으로 인해 전세 리스크가 없는가?

- 투자금이 적게 드는가?

-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의 특징은 무엇일까?

- 서울과 지방 투자의 기준은 무엇이 다를까?

- 현재 나는 수도권 / 지방 어떤 투자에 적합한 투자자일까?

* 입주 10-15년 랜드마크 아파트를 보자!

전고점 대비 하락폭이 큰 아파트는 어디일까?

(스스로 생각해보기!)

<서울>

서초구 - 0000000 / 송파구 / 강동구

마포구 / 강서구 / 광진구 / 성동구 / 성북구

노원구 / 도봉구 / 강북구

관악구 / 금천구 / 구로구

<지방>

부산 / 대구 / 대전 / 광주

울산 / 창원 / 청주 / 천안 / 전주

<밸런스게임같은 수도권투자냐 지방투자냐...

고민되는 부분...

아래 기준으로 확 정하자!>

수도권 투자가 적합한 투자자 check !

보유 투자금 1억 이상

1년에 투자금 5천만원 이상 모으기

매월 수도권 앞마당 1개 만들 수 있는지

5년 내 10억 이상 자산 목표

지방 투자가 적합한 투자자 check !

보유 투자금 5천만원 이내

1년에 투자금 5천만원 이내

매월 지방 앞마당 1개 만들 수 있는지

3년 내 3억 이상 자산 목표

* 지방 투자의 입지기준

인구수 많은 곳 / 지역 위상 / 학군,환경 /

아파트 연식 신축 (b급+신축 > a급+구축)

베스트 : 중심지 신축!

/ 입주물량 중요성

(지방기초반을 듣지는 않았지만,

쓰앵님 말대로 위 기준에 맞추면 될 것 같은..)

* 비슷한 입지 위상 중에서 가장 저렴한 곳에 투자!

경남권 : 부산 > 울산/ 창원 > 김해 / 양산 > 진주 / 거제

경북권 : 대구 > - > 00 / 00 > 00 / 00

충청권 : 대전 > 00 > 00 > 00

호남권 : 광주 > 00 > 00 / 00 > 00

강원권 : - > - > 00 / 00 > 00 / 00

* 지방 1등 입지 _ 학군이 우수한 곳! 기억해두자

(지방에서 가장 많이 오르는 지역이고,

하락장 투자기회에 1순위로 검토해보자.

비교적 장기(4년 이상) 보유 가능한 지역)

* 대구 - 수성구 범어동

울산 / 창원 / 김해 / 부산

천안 / 청주 / 대전 / 전주 / 광주

* 지방 가성비 지역도 확인하자!

(b급 이상 입지 + 전세가율 높은 지역)

* 앞으로 좋아질 지역 (재개발/재건축/신규택지)

* 가성비 입지까지는 목표로해보자!!

* 필수 임장지 : 5대 광역시 / 5대 중소도시 가보자

부산 / 대구 / 대전 / 광주 / 울산 / 창원 / 청주 / 천안 / 전주 / 김해

* 수도권 투자의 입지기준

서울 25개구 투자금이 얼마나 들까?

4-10억대

강남 / 서초 / 용산 / 송파 / 성동 / 양천 / 광진 / 마포

3억-4억대

종로 / 영등포 / 강동 / 동작 / 중구 / 강서구 / 서대문구

2억 - 3억대​

동대문구 / 성북구 / 은평구 / 관악구 / 노원구 / 구로구

중랑구 / 금천구 / 강북구 / 도봉구

* 수도권에서는 입지가치가 더 중요하다!!

* 전세가율 60프로 이상인지

* 매매가 저평가 되었는지

전고점 대비 30프로 하락

2018년 본격 상승 전의 가격일까

전세가율 높았던 시점의 가격일까 2014-2017

최근 10년간 전저점 가격일까 2012-2014

* 입지독점성을 가졌는지

경기도이지만, 수도권 평균이상 입지면서도 핵심지역은?

하남 / 성남 / 용인 수지 / 안양 / 광명

* 1년 / 2년 내 수도권 투자 목표 : 어떤 지역들을 보면 좋을지!

- 입지독점성 (강남 1시간 이내)

- 전세가율 60프로 수준

- 투자금 1.5억원 이내

- 24-25년 입주물량 수요 범위 이내

- 입주시기 30년 이내 신축/준신축/구축 살펴보기

* 평당가에 따른 지역별 위상 같이 보기!

ex. 안양시 동안구 / 광명시 / 성남시 중원구 같이 보기

부천시 / 군포시 / 고양시 덕양구

* 평당가별 지역 특징들도 알아두기.

<지금 현재 내 상황에서 고민되는 것들>

월 1-2회 독서습관이 잡히고, 마음가짐이나 해야할 방향성은 잡혔는데..

직접 임장가고 임보를 쓰고, 숫자적으로 목표를 정리하는게 쉽지가 않다.

실행을 못하는 이유는 뭘까. 열정적으로 임장을 가지 않는 이유는 뭘까.

어렵사리 모은 큰 돈을 움직여야 하는것도 아직도 부담이기도하고.

서울을 임장을 가자니 투자금이 없어 어차피 어렵고,

지방은 그저 멀고 벌써 힘들게 느껴진다.

처음이 정말 어려운 것 같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어떤 일들은 생각했던 것 보다 별거 아닌데

지레 겁을 먹고 상상을 해서 그런 것 같다.

또한 내 스스로 정확한 목표 설정이 정리가 아직 안된 느낌이어서 그런 것 같다.

더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으로 어떤 지역에 가볼지, 투자해볼지 고민해보고.

절실한 초심 마음가짐을 가지며, 도전해보자.

<적용해보고 싶은 점 + 투두리스트>

* 당장 교재 프린트해서 중요한 정보들 숙지하기!!!

* 투자할 지역 1년 / 3년 선정하기 (지역별 위상 정리)

* 예산안 구체화 하기

* 9월 / 10월 임장 지역 정하기

* 임장보고서 1-2개 정리하기 (지난 8월, 9월)

* 독서후기 쓰기 (세이노의 가르침)

투자할수록 경험치가 쌓인다.

투자자의 길을 가야한다면,

실전 투자는 무조건 경험해야하는 것.

더군다나, 지금시점이 서울이나 지방이나

투자하기 좋은 타이밍이라는 것.

독서+강의+임장+투자 !

속도는 느릴 수 있지만, 너무 기회가 올때 놓쳐버리지 않도록..

하루하루 어떤 점에서 성장해야할지

큰 목표를 설정하고 고민해야겠다.



댓글


온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