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수 보험 가입? 어렵지 않아요! (feat. 첫 누수 보험 가입) - 해바라기v 님
📌 누수 보험은 단독 가입이 아니라 화재보험 중 주택 보험 중 누수 배상 특약을 확인하는 것
📌 월부 연계 보험사가 있음 ㅇㅁㅇ
📌 누수 확인 후 보험사에 즉시 신청
화재보험, 주택 보험 중 누수 배상 특약이 있으면 청구 가능 “누수 단독으로 보험을 들어가는 게 아님”
2. 누수 보장 범위
a. 임대를 주고 있는 케이스 : 우리가 임대를 주고 있는 집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임대인 배상책임(임배책)을 통해서 자기부담금 20만원 수준에서 1억원 한도로 누수 탐지, 마루철거, 난방 배관 수리를 위한 시멘트 철거, 난방배관 수리 공사 및 아랫집 피해보상 진행
b. 본인 집 거주 케이스 : 우리집 피해 손해 보장시 급배수 적용, 범위 및 한도는 급배수의 경우 자기 부담금 10%, 500만원 한도로 지원 (90일 면책기간 적용)
이웃집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 보장의 경우 가족 일상생활중 배상책임(가족 일배책)이 적용되며, 가족 일배책의 경우 임대인 배상책임과 비슷한 케이스로 보장이 진행된다.
3. 가입 가능한 주택수는?
a. 한 증권에서 최대 5건까지 묶을 수 있고, 공실은 가입해도 보상이 불가하기 때문에 늘 사람이 살고 있어야함
b. 매도 매수시 위약금 없이 추가나 삭제 해지 가능
i. 매도 매수시 추가, 삭제 등 수정의 경우 보험 설계사를 통해서
ii. 해지를 희망하는 경우 보험사를 통해서 진행
4. 보험료 산정 기준
a. 건물의 면적, 구조, 용도,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산정됨
5. 계약 갱신 주기 및 보험료 인상 조건 체크
a. 10년 만기와 20년 만기로 구성되며 투자자의 경우 10년 만기, 실거주의 경우 20년 만기 추천
b. 계약 갱신은 미진행
6. 누수 발생시 보험 처리 방안
a. 사고 사실을 알고 난 다음 즉시 신청 (선 접수) 권장
i. 보험금에 대한 금액이 클 경우 사고에 대한 조치 후 신고 시 사고사실 확인이 어려워 보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
b. 신속한 차단 → 정확한 탐지 → 기록과 보험 접수
세부적인 조치 방안
-수도 계량기 밸브 or 메인 밸브 잠그기 > 더이상의 누수를 막기위한 첫단계. 집 전체의 물 공급 차단
-전기제품 근처라면 전기 차단기 Off > 누전 및 감전 위험을 막기 위해 꼭 필요한 조치
2. 누수 위치 확인 및 응급 조치
-눈에 보이는 누수 부위 확인 (천장, 벽, 싱크대, 욕실 등)
-빨래통, 수건, 대야 등으로 물받이 임시 설치
-방수테이프, 실리콘등으로 임시 보수 (단, 이는 임시 조치일 뿐 전문가 점검은 필수야)
3. 피해 확산 방지 및 연락
-아랫집 누수 여부 확인 → 아랫집까지 물이 스며들었다면 바로 사과 및 상황 설명
- 관리사무소에 신고 (공동주택의 경우) → 정비 기사 파견 + 배관 관련 이력 확인 가능
-전문 누수 탐지 업체 Or 배관 기사에게 연락 > 정확한 누수 원인 파악과 수리 진행
4. 피해 기록 및 보험 준비
-현장 사진 촬영 (누수 범위 ,피해 범위 등)
-피해 물품 기록 (가전, 가구, 벽지, 바닥 등)
-보험사에 사고 접수 → 화재보험, 주택보험, 누수 배상 특약 등이 있으면 청구 가능
5. 수리 후 재발 방지 점검
가입시 주의사항
보장 범위 및 제외 항목 정확히 확인
특약 유무 및 적용 조건 꼼꼼히 살펴보기
가입 주소지 명확히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
댓글
빛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