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특히 인상 깊었던 점※

 첫번째강의  가장 확실한 알파는 절세다!

 ☆(매월 납부한 근로소득세) 

   = 원천징수한 금액

 ♧(근로자가 납부했어야 할 총 근로 소득세)

   = 결정세액

몇년간 저는 ☆ < ♧ 였는데 "어떤 문제일까?

얼만큼 , 얼마나 써야하는거지? " 라는 소비를 기준으로 고민을 하고 절세할수있는 방법은 고민을 하지 않았어요.. 이게 가장 큰 문제점이더라구요

 

광화문 금융러님 첫번째 강의에서

가장 위험한 선택은 “ 지금 아는 것만 하는것”

세번째 강의에서 

“ 제대로 알고 확실하게 준비하자!

대충 알면 모르는 것만 못하다! "

 

이 두가지를 바탕으로 남들에 비해 아는것이 없고 많이 부족하니 시간을 더 들이고 , 느리더라도 제대로 알고 내 속도를 남들과 비교하지 말자! 라는 다짐을 했습니다😄

 

 

※꼭 적용해 보고 싶은 점※

 

결정 세액 존재 O  >> ‘ 연금 저축 계좌 ’ 1순위

결정 세액 존재 X  >> ‘ ISA 계좌 ’ 1순위

 

이중에 저는 결정 세액이 존재해서

가장 먼저 ‘ 연금 저축 계좌 ' 를 계설 해서 절세를 해야합니다!

 

세액 공제 대상 금액은 ‘ 연금 저축 ’ 만 했을 경우

최대 600만원까지 공제 가능하고 

세액 공제율은 16.5%(총 급여 5,500만원 이하)

저의 작년 결정세액  110만원이므로

최대 금액인 600만원 납입은 해야합니다

 >>>600만원 × 16.5% = 99만원

 

두번째로 중개형 ISA 계좌 투자!

 

그중에서도 서민형 ISA를 해야하고

(근로자 세전 총 급여 5천만원 이하)

3년간 투자해서 연금저축 계좌에 옮기거나

다른 곳에 투자할수있는 금액을 만들어야 할것같아요

 

한해에 한도 2천만원 3년이면 6천만원 가능하니

미리 만들어 놓고 한도를 크게 해놓아야할것같습니다

 

 

저는 절세 계좌 싱글이라고 봤을때

연금 저축 계좌 : 50만원 (총 600만원)

ISA 계좌 : 25만원 (총 300만원)

 

이렇게 기본으로 하고 남은 돈은 연금 저축 계좌에 

투자해보려 합니다!☺️

 


댓글


성우니아부지
25. 05. 27. 10:26

다솜님! 한번도 뵙지 못해 너무 아쉽습니다 ㅠㅠ 매일 아침 원씽 올려주시고 항상 감사움을 표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은 현생이 많이 바쁘신 것 같지만 작은 것이라도 꾸준히 행동해 나갔으면 합니다. 같은 목표를 향해서 느리지만 천천히 묵묵히 같이 걸어나갔으면 해요. 같은 환경안에 있다면 또 뵙게 되는 날이 언젠간 오겠죠?^^ 그때까지 늘 응원하겠습니다. 한달 간 고생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