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인상 깊었던 점 & 적용해보고 싶은 점
지역별 위상을 제대로 알아야 해 : “서울만 알거나 경기도만 아는 것은 반쪽 짜리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반쪽만 알고 하는 선택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내가 어느 지역까지 아느냐에 따라 다음 투자의 선택권이 늘어납니다.”
양파링님의 말씀을 듣고 내 투자금으로는 서울은 볼 필요가 없다고 단정지었던 생각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지역별 위상을 제대로 알아야 내가 살 수 있는 물건의 수준을 낮추지 않을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지역의 위상을 크게(평당 매매가 + 랜드마크가격) & 작게(입지/연식/가격) 정리하는 방법을 꼭 적용해보겠습니다. 특히, 핵심 생활권을 중심으로 4개 범주(입지 좋은 신축/구축, 입지 덜 좋은 신축/구축)로 묶어서 지역의 위상을 가격으로 기억하는 연습을 하겠습니다.
지역의 재개발, 리스크인가? 기회인가? : 양파링님께서 A지역을 가지고 입지와 가격 분석, 그리고 투자 의사결정까지 이어지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직접 현장에 있는 것처럼 A지역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투자자의 관점에서 지역을 어떻게 분석하고 투자와 연결시키는지 전체적인 흐름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 중 인상 깊었던 점은 “생활권의 선호 요소(신축 택지 조성 + 상권 형성 + 인구 유입 + 교통 개선 등)가 늘어나 입지의 가치가 변화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는 단순히 공급이나 재개발 이슈가 있으면 리스크 관리가 어렵다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할 수도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입주물량이 집중되는 시기에는 그 지역의 가격 상승 속도가 늦다. 투자의 관점에서 가격 상승이 눌리는 시점이 기회가 될 수 있다. 가격이 눌려서 아직 비싸지 않으니까! 단, 보수적으로 판단해서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의 한계점을 잘 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리스크와 기회를 구별하겠습니다.
댓글
백개의씨앗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