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동을 바꾸고 실천하는 투자자
추월차선대디입니다.
모든 것은 기본에서 시작된다.
손웅정님의 책이 생각나는 강의였습니다.
근데 이번 용맘님 강의에서는
결국 투자의 본질이 무엇인지
디테일하게 보여주셔서 다 안다고
생각한 것 중에 놓친 부분을 강화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셨습니다.
#결국엔 기본
##결국엔 가치 대비 가격
제대로 된 임장이 수익과 직결된다.
아주 당연한 이야기고 많이 배웠고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용맘 튜터님의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보며
어떤 것이 제대로 된 것인지
그리고 내가 직장인 투자자라면
응당 얼마나 집요하게 파고들어야 하는지
실제 단면을 들여다볼 수 있었고,
자기 반성을 할 수 있는 계기였습니다.
제대로 쌓는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분위기임장-단지임장-매물임장 과정에서
어떠한 실질적인 액션이 필요한지
그리고 비교평가는 얼마나 집요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각 단계의 임장은 투자처를 찾기 위함이다.
지역과 썸타고 친해지는 분위기임장
선호도 파악 / 유의미한 투자처를 남기는 단지임장
유의미한 투자물건을 남기는 매물임장
그리고 그 중에 가장 내 상황에 맞고
내가 할 수 있는 것 중에 가장 가치있는 것을
찾는 과정인 비교평가까지
그 일련의 과정을 제대로 해내기 위해서
임장과 임보는 항상 같이 움직이는 것이라고
말씀해주셔서 임보 보다는 임장 만을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저 자신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됐습니다.
분위기 임장 전에도 임장지역에 대한
의문사항을 가져야 하지만
분위기 임장 후에 단지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질문을 임보에 남겨두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도
반드시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질문을 남긴다는 의미는
내가 온전히 임장지에 집중을 한다는 것.
가족들과 함께 하지 못하는 시간에 더 몰입해서
더 많이 가져가야 하는 것 아닐까요?
집요하다고 생각할 만큼 사람의 수요를 끌어당기는지,
투자로 연결이 가능한지 치열하게 생각하세요."
- 강의 中 용맘 튜터님 -
BM point 1
임장지에 대한 궁금증을 머리 속에서만 생각하지 말고
카카오톡 나에게 보내기로 보내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은 것도 임보에 반영하기
# 단지분석에 대한 착각
지난 지투반에 이어 이번 실전반을 들으며
가장 크게 변화한 생각이 단지 분석에 대한
제 생각인 것 같습니다.
시세지도는 자고로 깔끔하게
한 판에 올려야 제 맛이지
라는 생각만 가득했던 저였지만,
튜터님이 강의에서 단지임장 후 시세지도에
단지가 싼지 비싼지,
매물임장을 할 단지는 무엇인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모두 남기라고 하셨습니다.
여기서 또 제 단점이 한번 더 부각 됐습니다.
머리 속으로만 생각하고 글로 남기지 않는 것.
"여러분 시세지도는 깔끔하게 쓰는 게 아니라
내 생각을 가득 담고 지저분해지도록 쓰는 거에요."
"단지분석은 단지 가치를 스스로 정리하는 과정.
의미없다고 생각하지 말고 의미있는 행동으로 만드세요."
-강의 中 용맘 튜터님-
분임/단임을 통해 단지의 가치를 파악했다면
내가 수집한 가격 정보를 입혀서
어떤 단지가 가치 대비 싼지
사고 하는 모든 내용을 머리로만 생각하지 말고
임보에 남겨야 한다는 것을..
튜터링데이, 강의에서 크게 느끼고 있습니다.
지난 달보다 개선했다고 생각했지만
아직 한참 부족한 제 아웃풋을
더 날카롭게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했습니다.
BM Point 2
단지분석 장표에 매물임장과 전화임장 후
알게 된 내용을 적는 공간을 만들어두기!
살아있는 정보이므로 반드시 남기자.
#가설과 검증
단지분석 장표를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단지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데이터로
그것을 검증해나가는 행위를 해나갑니다.
다만 가설/검증 프로세스는
가설을 세우고 결론을 유추한 뒤에
내 투자에 적용 시켜보기 위한 행위입니다.
우리는 논문을 쓰는 것이 아니니
반드시 모든 가설검증으 투자 의사결정과
직결되는 것으로만 세워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BM Point 3
아래 가설/검증의 네 가지 프로세스를
반드시 숙지하여 좀 더 유의미한 단지분석을
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주장
투자와 연관된 궁금증과 가설수립-투자질문
ex) 동별로 가격 차이가 날 때도 최저가가 우선인가?
근거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해석
예시 1.
동별 전고점이나 거래량을 아실에서 구분해서 파악
예시2.
전고점과 그 주변 가격이 어느 동에서 거래됐는지 확인
결론
데이터 해석에 대한 결과 확인
ex) 후순위 동 가격과 비교하여
현재의 가격수준이 싼지 비싼지 판단
적용
결과를 토대로 현재 투자에 적용
ex)동별로 가격 편차가 심할 때에는
가격이 무조건 최우선이 아니다.
동별로 가격을 구분해서 매매가격을 보고
싸지 않다면 다른 우선순위 단지를 먼저 봐야 한다.
그리고 가격을 더 싸게 협상 가능한지 타진해보기
#매물임장의 정석
매물임장을 왜? 어떻게 제대로 하나?
투자금이 있다면 최대수익을 남기는 단지를 찾고
투자금이 없다면 미래의 투자단지 리스트업 하는 것.
매물임장의 궁극적 목표는
현재 또는 가까운 미래에 투자를 하는것.
투자와 연결되는 매물 임장은
매임 준비 단계부터 입니다.
-강의 中 용맘튜터님-
BM Point 4
매물 임장 전 아래 내용을 반드시 정리하고
사장님 만나러 가기 전 2-3분간 복습/숙지한 후 매임진행
매물정보
최근 매매/전세 실거래가
전고점 가격
부사님에게 질문할 사항 정리
#비교평가
#변하지 않는 것과 매 순간 변하는 것 구분하기
변하지 않는 것 : 단지 가치
매 순간 변하는 것 : 단지 가격, 조건
단지 가치를 평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에는 반드시 가격과
매물의 상황이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매물임장에서의 1등의 의미는
누가 봐도 1등의 최고의 물건이 아니라
내 상황에 맞는 1등을 고르는 것이다.
BM Point 5
비교평가/결론 장표 따라해보기
Step 1. 가치 비교
Step 2. 가격비교
Step3. 결론(내 생각 남기기)
가치에 대한 판단을 먼저 진행한 후
가격 그래프를 붙여보고,
현재 가격의 적정성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동별 선호 차이가 나는 단지인지,
수리가 어느정도 필요한지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해서 결론 내기
BM Point 6
투자 여부 결정 이후 Next step 따라하기
1. 투자 결정했다면?
가격 적절성 / 협성여부 / 적정 전세가 / 예상 리스크
에 대해 글로 정리하며 나 스스로를 설득하는
셀프코칭 시간 가지기
2. 투자 보류를 결정했다면?
내가 선정한 단지와 가격을 남기고 가격변화를
트레킹하면서 내 의사결정이 옳은 것이었는지 복기
자금상황 업데이트
대출상황 업데이트
매일 1시간 시세트래킹
매일 전임3통
이 지루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행동을 반복하기
저 나름대로는 인풋을 꾸준히 넣고
살고 있다고 생각해왔지만..
직장인 투자자로 살아가시는
용맘튜터님을 보며
나의 인풋이 얼마나 하찮은 수준인지
다시 한번 느끼게 됐습니다.
투자자로 살아가며 가족, 회사, 자금 등
많은 장애물에 부딪히겠지만
튜터님이 하시는 것 과 같이
내가 바꿀 수 없는 것에 매몰되지 않고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을 개선해가며
더 나은 투자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긴 시간 강의 감사 드립니다 용맘 튜터님^^
댓글
와...추디님 강의복습이 저절로 되는 정성 가득 후기입니다. 임장할때마다 질문 계속 던져주시는 추디님 덕분에 계속 긁을 수 있어서 많이 배우고 감사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