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 상승장 시기 중간에도 투자를 해도 될까?
지금은 하락장이니, 하락장에서 할 수 있는 투자에 대해 배우고 있다.
하지만 계속 드는 궁금증
결국에는 나중에 상승장이 또 올텐데, 그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내가 할 수 있을까?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에 대한 괜한 걱정이지만 궁금했다.
그런데 왠걸.
게리롱님이 투자를 시작한 시기가 상승장 시기였다니.
이번 강의는 게리롱님이 직접 했던 상승장 시기의 투자를 간접 경험하고, 궁금증을 해결하는 좋은 시간이었다.
| 투자는 기준과 원칙에 따라서
투자의 원칙은 상승장이든, 하락장이든 어느 시기에나 통한다.
기준은 바뀔 수 있다.
저번 달, 조원들끼리 얘기를 하면서 나온 말이 있다.
'분명 전고점 대비 -15% ~ -20% 를 찾아보라고 하셨는데, 갑자기 전고점을 넘지만 않으면 된다니.
조금 혼란스러워요'
그때는 몰랐는데, 이번 열중 강의를 듣고 나서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기준에만 매달려 있었던게 아니였을까’
결국 중요한 건 변하지 않는 투자의 원칙이였던 것이다.
| 나만의 언어, 저환수원리
게리롱님이 자주 하시는 표현이 있었다.
‘저의 언어로 얘기하면~’ ‘제가 생각하는 저의 기준은~’
개인적으로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려면
나의 언어로, 그리고 나만의 방식으로 해석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게리롱님이 그 점을 짚어주셔서 저환수원리를 내 식대로 생각해봤다.
만약 누군가에게 저환수원리가 뭐야? 라고 묻는다고 이렇게 설명해보고 싶다
#저: 저평가
단지의 가치를 알고 그 가치보다 싼 걸 산다.
💡상승장, 하락장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
✔️ 참고자료: 전고점 그래프
❗주의: 전고점 그래프에 집착하지 말 것
#환: 환금성
(매도가 잘 되지 않는 시점에도) 하락장 시기에도 사람들이 사고 싶을정도로 매력적인 단지인가?
#수: 수익률
투자금 대비 충분한 수익률을 낼 수 있는 단지인가?
다만 여기서 내가 만족하는 충분한 수익률의 기준은 아직 잘 모르겠다.
#원: 원금 보전
나의 종잣돈(원금 또는 투자금)을 들여서 사도 괜찮은 단지인가?
#리: 리스크
내가 가질 수 있는 리스크를 확실히 알고
최악의 상황이 오면 나는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메타인지가 필요)
[SUMMAR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