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는 물건을 싼 구간에 잘 모아서  충분히 비싸질 때까지 잘 지켜낸다.

-저평가  가치가 있는 것 중 (저평가 VS 저가치 에 대해 표로 정리한것을 보며 가치 확인)

               같은 가격인데 더 좋은게 있나? 

               비슷하게 좋은 데 더 싼게 있나?

               전 고점 확인

-환금성 : 매도 시점에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것

-수익성 : 보유한 투자금으로 충분한 수익을 낸다.(수요가 풍부하고 가치가 있는 물건을 산다. 투자금을 줄이는 것에 집착하지 않고, 싼 구간에 산다.)

-원금 보존 : 지금 전세가율(=전세가)이 적절한 수준인가? , 수요가 많고, 가치가 있는 물건인가?, 단기 입주물량이 적절한가?)

    매도를 생각할 시점(의사 결정 방법  YES, NO  표 이용)

   1. 수익이 났을 때

   2. 매도하고 더 좋은 자산으로 바꿀 수 있을 때

   3. 리스크(역전세 등) 가 있어서 보유하는 것이 어려울 때

   4. 장기 보유할 만큼 가치가 좋은 물건이 아닐때

-리스크 :감담가능한 리스크에 투자하고, 대응한다.

   1. 매수시 - 무리한 전세가를 고집하지 않는다.

                -  과도한 대출을 활용해 투자하지 않는다.

   2. 운영 - 전세상승분으로 무리하게 재투자 하지않는다.

              - 감당 가능한 규모로 운용한다.

 

투자를 잘 하는 사람들의 실전투자 프로세스

  • 정보수집 : 아파트의 가치(입지+상품성)을 제대로 알기 위해 임장하고, 임장보고서를 쓰며 가치를 파악한다.

                -→ 임장의 각 단계를 제대로 쌓아 올리지 않으면, 투자를 결정할 때 내가 선택한 물건의 가치에 대해 확신                   이 서지 않음

  • 투자기준: 저환수 원리 적용해서 투자물건 선별

                --→ 매매가가비싸고, 투자금은 적게 드는 단지(시세트레킹 자료 이용, 저평가 저가치 정리 기준 비교)

  • 가격관찰  :투자후보 단지를 장바구니에 담고 계속 지켜보며 내가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물건을 골라낸다.
  • 계약(매수) :마지막까지 깎아서 더 싸게

                --→ 내가 뽑은 1등보다 더 좋은 물건이 없는 지

                       옵션이 많아질수록 협상에 유리

     

    독서를 통한 인생의 변화를 위해 읽고, 요약하고, 적용하고 독서노트 적용

    몰입하되 과몰입하지 않을 것

    초조하고 불안하고 균형이 깨진 초짜 월부인인 나

    독 강 임 투 

    독: 한달동안 4권이상 독서

    강: 매달 월부강의 듣기

    임: 올해안으로 앞마당 3개 만들기

    투: 2026년  6월까지 1호기 만들기


댓글


윈디랄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