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의 개요 | ||
책제목 | 김미경의 마흔수업 |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 / 출판사 | 김미경/웨이크북스 | 30년간 기업과 방송등 강의무대에서 활약해온 대한민국 최고의 자기개발 강사. 160만 구독자를 보유한유튜브채널 MKTV크리에이터이자 18만 회원의 온라인 지식 커뮤니티MKYU대표. |
출간일 | 23.3 | |
쪽수 | p290 | |
2. 나의 한 줄 평 | ||
핵심 키워드 | #자기개발 #인생 #지혜 #교훈 | |
나의 한 줄 평 | 40대에 통찰을 담은 인생해석집 | |
BEST문구 기억저장 | 줄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줄인 만큼 무엇을 채울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줄이면 시간이 남는다. 그 시간이 바로 미래에 돈이다. 그 돈을 어디에 쓰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결정된다 | |
핵심BM | 40대 버킷리스트 쓰기> 비전보드 | |
점수 (10점) | 10점 | |
3. 책갈피 | ||
페이지 | 본 것 깨달은것 | |
세컨드라이프가 온다 | ||
p40 | 꿈을 중심으로 생일 주기를 다시 정리 하기 시작했다. 태어나서 20 세까지는 유년기 20 대부터 40 대까지 30 년을 첫 번째 꿈을 가지고 뛰는 퍼스트라이프 50 대부터 70 대까지 30 년은 두 번째 꿈을 가지고 뛰는 세컨드라이프 그리고 80 세부터 100 세까지 가 노후다. 지금 사 십대들은 퍼스트 라이프의 마지막 십 년을 사는 중이고 이제 60 세가 된 나는 세컨드라이프의 중반기에 들어섰다 | |
진짜 지나 보니깐 나이가 들어 보니깐 알 것 같다. 40 대는 한창이다. 이제 꽃을 피우려고 노력 할 때다. 40대 50대 60대 30 년간 세컨드라이프를 즐겁게 지내려면. 올해 내년이 너무 중요한 거 같다. 세컨드라이프 맞을 준비를 신나게 해 보자. | ||
기대가 없으면 현재를 열심히 살 수 없다 | ||
P62 | 사실 20대 30 대도 주어진 환경이 맞춰 살아온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렇지만 아무리 꿈이 부담스러워도 세컨드라이프에서는 반드시 버킷 리스트를 써야 한다. 나이들수록 꿈이 없으면 버티기가 힘드니까 60 대의 인생 최고의 황금기를 맞이 한다 해도 꿈도 계획도 없이 하루하루 때 듯 사는 일상은 지루해서 견딜 수 없을 테니까 40 대는 가장 변화무쌍한 식이다 커리어에도 변화가 생기고 수입도 매해 달라진다. | |
원래 버킷 리스트를 매해 쓰고 있었다. 어느 순간 올해 약간 옅어진 버킷리스트를 다시 돌아 보면서 방기 맞이 비전 보드도 업데이트를 하고 버킷 리스트도 새로 썼다. 60대 황금기를 맞을 기억에 남을 40 대가 설렌다. | ||
그 사람도 자기만의 밑바닥이 있음을 | ||
P86 | "누구나 바닥은 좀처럼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니 비교란 참으로 부질없는 게임이다" 이제는 크게 성공한 사람들을 만날때마다 그들이 저 높은 꼭대기까지 오르기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자신의 바닥과 싸웠을지가 보인다. 비교하는 감정이 들기는 커녕 그가 이룬 결과에 박수를 보내게 된다. 누구든 꼭대기까지 올라가기 위해 쏟은 숨은 노력을 존경받아 마땅하다. 그렇다면 나만의 밑바닥과 싸우고 있는 나 자신도 마땅히 자랑스러워해야 하지 않을까. | |
비교는 인간의 천성인가 싶다. 그만큼 작던 크던 나도 모르는 사이에 비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문단을 보면서 참 부질 없는 것임을 다시금 일깨워 줘서 고마웠다. 누구나 바닥은 정말 보여 주지 않는다. Instagram만 보면 모두 행복하고 멋있고 화려한 삶을 살고 있다. 결과 중에서 자랑하고 싶은 것만 내 세우기 때문이다. 정말 꼭대기 올라 가려면 힘든 과정을 다 거쳐서 가야한다. 비교 보다는 쌓아 가는 인스타그램으로 만들어 가자 내가 한점 부끄러움 없어야 할 것 같다. | ||
하루 1시간만 진짜 나로 살아보자 | ||
P207 | 처음습관을 만들떄는 하루 1시간만 집중하는 것이 좋다. 하루에 딱 1시간만 내가 되고 싶은 나로 살아보는 것이다. 작가를 꿈꾸고 있다면 1시간만 글을 써보고, 창업의 꿈을꾸고 있다면 1시간 동안 창업 공부를 하는것이다. (중략) 나를 바꾸고 싶다면 오늘 하루에 집중하자. 오늘 하루를 기획하고 아무리 바빠도 하루 1시간 내꿈에 집중ㅈ하자. 하루에 1시간씩 꾸준히 노력하면 매일 내가 원하는 나를 만들어나갈 수 있다. | |
매일 1시간은 정말 큰 시간이다. 항상 글을 쓰고 싶다고 하는데, 한 시간씩만 글을 써 보는 거 정말 습관들이고 싶다. 내가 하고 싶다고 말하는 거는 분명히 매일의 시간에 녹여져 있어야 한다. 현재는 투자 생활 특히 월부 학교에 몰입 되어 있는 상태인데 내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꼭 하고 싶은 것은 한 시간씩 시간 할애를 해 보자. 새로운 시작이다. 내 습관은 내가 만들어야 한다. 독서 습관도 정말 치열하게 만들었던 것 같다. 그 다음 스텝으로 근육이 찢어져도 성장 해 보자. | ||
회사를 그만두면 잃는 일곱가지 | ||
P221 | 첫째, 당연히 월급이다.둘째는 인맥이다. 셋째는 분업이다. 넷째는 신용이다.다섯째는 전문성이다.여섯째는 방향성이다. 퇴사하는 순간부터 내가 모든 방향을 결정해야한다. 마지막은 거의 모든것인 '안정성'이다. 위의 여섯가지가 사라지는 순간 내 삶은 송두리째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 "이 내용을 스면서 회사를 못그만두도록 저 자신을 설득했는데 나중에는 이것이 저의 '퇴사준비 리스트'가 되더라구요. '현재를 사느라 벅차다고 미래를 내버릴 수 없다. 돈이 아니라 가치가 시키는 일, 가슴을 뜨겁게 데우는 일을 지금 시작하라. | |
주 원규 님의 명언 참 잘 듣고 공감이 가고 무릎을 탁 치는 말이 많다 퇴사를 하기 위해서는 이 일곱 가지를 반드시 마련해놓거나 대안이 있고 퇴사를 해야 될 거 같다 월급 당연하다 돈이 제일 중요한데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 현재 나는 부동산 공부를 하고 있다 인맥 인맥도 마찬가지인데 새로운 인맥보다 부동산 공부를 같이 하는 동료가훨씬 생산적인 인맥이라 생각한다. 분업 나 혼자 해야 하는 것 사실 내가 CEO 가 되고 직원이 부동산이 되는 것이다. 신용 사실 회사가 가장 주는 메리트는 신용이라고 생각한다. 대출에 메리트를 여기서 가장 느낄 수 있는 거 같다. 다섯째 전문성 이것은 내 자아실현 그리고 사회에서의 인정 부분이 큰 거 같다. 여섯째 방향성 이거는 투자자로써 방향성을 제대로 잡는다면 큰 문제가 될 거 같지 않다. 마지막으로 안정성 이건 경제적 자유를 이르면 따라오는 것 같다. 결국 신용과 전문성 부분에서 해결이 된다면 퇴사를 할 수 있지 않을까? | ||
줄이는 대신 채우고 따라 잡자 | ||
p237 | 불황이 오면 곧바로 태세를 전환 한다. 10에서 5로 줄인 현재 규모를 앞으로 무엇으로 채울지 어떤 새로운 비전을 세우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지에 몰입 한다. 세상은 돈이 풀릴 때도 바뀌지만 돈이 고갈 될 때도 바뀐다 문제는 10이었던 규모를 3으로 줄여 놨어도 몇 년 뒤 다시 세상이10이 된다는 것이다. 그때 몇 년간 3으로 규모를 줄이고 멈춰 있었던 이들은 10이 된 세상을 따라갈 수 없으니 기회를 놓친다. 그러나 규모를 3으로 줄여도 공부로 십을 채워 놓은 사람들은 결국 이를 따라 잡는다. 줄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줄인 만큼 무엇을 채울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줄이면 시간이 남는다. 그 시간이 바로 미래에 돈이다. 그 돈을 어디에 쓰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결정된다 | |
이번에 이직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꼈던 부분이다. 불황이라고 줄이기만 하면 안 된다. 채워야 한다. 채우지 않으면 그대로 읽고 기회를 놓칠 것이다. 시간을 벌은 만큼 그냥 무조건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대안이 있어야 한다. 돈이든 시간이든 남는 것을 어디에 쓰느냐가 내 미래를 결정한다 이번에 반기를 정산을 하면서조금 더 시간과 돈을 잘 써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내 시간을 사용하는 것 자체도 아쉬운 부분이 많고 돈을 쓰는 것도 아쉬운 부분이 많은 거 같다. 복귀 해 보고 시간과 돈의 절약에 대한 부분을 다시 세팅 해서 하반기에 한채 더 진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보자. | ||
결국 버텨 내는 사람들의 비밀 | ||
p238 | 불황일때 불황처럼 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호황처럼 사는 사람이 있다. 호황처럼 사는 사람들은 당장 버는 게 없어도 부지런히 사람들을 만나고 경험을 쌓고 공부를 하면서 바쁘게 산다. 이런 사람들이 결국 끝까지 버틴다 지금 불안 때문에 힘든 사람은 나 뿐만이 아니다. 나만 잘못하고 나만 바보 같아서 힘든 것이 아니다. 다만 위기가 기회라는 말을 내것으로 가져오느냐 못 가져오느냐는 전적으로 내 몫이이다따라 잡고 버티고 채우기 이 세 가지를 열심히 하면서 미리 기회를 잡고 판을 깔아놓자 이 위기가 끝나면 우리는 스스로도 놀랄 만큼 성장에 있을 것이고, 성장의 결과는 더 많은 기회가 보상해 줄 것이다. | |
위기를 기회로 삼을 하는 이야기는 이 책 저 책에서 다 나오는 말이다. 잡고 버티고 채우는 것 정말 매사에 열심히 해야만 미래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성장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버텨 내야 한다. 불안을 호황처럼 준비 하자. 아직은 되게 부족한 점이 많다. 부족한 게 당연하고 거기서 그치면 안 되고 채워 나가야 된다. 해야 뭘 깨닫고 해야 복귀 할 수 있다 안하고 후회 하지 말자. |
댓글
시노하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