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기 87기4서0원히 보유할 자산만 있조 흑임자떡] 2주차 수강후기 - 할 수 있다!

  • 25.06.15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날이 더워져서 그런지 집중이 잘 안 되던 한 주였습니다ㅠ

단순히 원칙으로만 설명되는 것도 아니고, 모르는 용어도 대거 나오고, 여러 사례와 정부 정책변화를 살펴보면서 강의가 진행되다보니 더 따라가기 쉽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원씽달성을 위해 수강후기를 작성해봅니다.

 

 

2주차 요약

  • 독강임투인(독서 강의 임장 투자 인간관계+건강)으로 전문가가 되자!
  •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오른다! 꾸준히 오르지 않을 뿐
  • “저환수원리”로 투자하자! (부동산 투자 원칙)
    투자 전에 해볼 질문
        ① 잃지 않는 투자인가?(원금손실)
        ② 나의 연평균 투자수익률은?(작은 수익)
        ③ 내가 사려는 부동산은 매도가 가능한가?(환금성)
        ④ 최악의 상황에 플랜B가 있는가?(리스크)
  • 미래는 어차피 예측할 수 없다. 소음과 신호를 구분하고, 새로운 정부의 정책에는 그에 맞게 대응하자
  • 투기가 아닌 투자를 하자! (가치투자를 하자)
  • 부자가 되기 위해 세금납부는 당연한 것이다! 세금이 무서워서 투자를 안 한다? 훗날 후회할 것..

 

알게된 용어

  • 용적률: 땅 한 덩어리에 아파트가 얼마나 높게 올라가 있는가, 땅의 주인이 얼마나 많은가를 말하는 것.
    보통 200%가 넘어가면 높다고 보고 100%대면 낮은 편.
    재건축이 될 것을 고려한다면 용적률이 낮은 것이 더 유리. why? 용적률이 낮을수록 재건축할 때 신규 분양 세대가 더 많이 나올 수 있음. 투자 분담금이 낮아져서
  • 양도세/종부세/취득세 (하단 설명)

 

 

1. 부동산 투자 원칙 = 저환수원리!

  • 평가 여부 (가치>가격) = ’매매가가 가치 대비 적정한가’
    → 가치를 알기 위해서는 비교평가를 할 줄 알아야하고 
    → 비교평가를 잘 하기 위해서는 임장을 가고 앞마당이 있어야함
  • 금성 = 내가 이걸 매도해서 돈으로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
    환금성 낮은 부동산은 마치 like 주식 상장폐지
    *아파트 중에도 환금성이 낮은 것 = 나홀로 아파트, 300세대 미만, 1~3층, 탑층
  • 익률 = 내가 투자금 넣은 돈 대비 얼마나 돌아왔는가
    수익률 = 수익금/투자금(매매가-전세가)
    “72법칙 : 72/수익률 =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
    But 투자를 처음하는 사람들은 잃지 않는 투자가 중요! 
      **수익률 높이는 법 
      ① 앞으로 가치가 오르는 부동산(수요, 공급에 맞게 투자) ② 적절한 투자금, 전세금 상승 ③ 좋은 타이밍 ④ 수익률, 수익 둘 다 중요 ⑤ 인내
  • 금보존 = 잃지 않는 것
    ① 적정 전세가가 받쳐줌 ② 입지독점성이 있으면 됨
    *근데 재건축 아파트들은 전세가율로 잡을 수 없고 전고점 대비로 보는 게 맞음. (보통 전고점 대비 2~30% 빠지면 무릎 이하로 볼 수 있음
  • 스크관리 = 내가 이걸 샀을 때 최악의 상황은?
    최악의 상황을 생각해보고 리스크를 헷징해야함
    **리스크헷징 방법
       - 적은 갭(전세금 욕심x)
       - 입주물량(3년 내 입주물량 많은 곳 주의), 입지독점성
       - 무리한 전세가x 전세금이 10%가 상승해도 5%만 올려라
         (전세보증금 전체 5~10%를 보윻고 잇는 것이 좋음, 처음 투자부터 마통 비추)
       - 운과 고정적인 수입(급여)

 

 

★세금

  • 양도소득세 : 부동산 양도할 때 내는 세금으로 양도 차익에 대한 세금을 내는 것(특정지역 제외하고는 근로소득세와 비슷)
  • 종합부동산세 : 우리 재산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보유한 것에 대한 세금을 내는 것
    = [(인별 전국합산 공시가격 - 과세기준금액)*공정시장가액비율]*세율-법정 공제세액

*과세기준금액 : 2주택 이상은 9억, 1주택은 12억
*공시가격= 아파트별로 다르지만 시세의 70%정도 됨
*공정시장가액비율: 60% 
*법정 공제세액: ①재산세액 중 종부세 과세표준에 부과된 재산세상 당액, ② 1세대 1주택 세액공제액(12억) ③ 세부담상한액을 초과하는 금액 
*과세표준액= [(인별 전국합산 공시가격 - 과세기준금액)*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을 정하는 금액

  • 취득세 :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
    **1가구당 계산하기 때문에 본가 거주 중이라면 부모님 주택 개수와 합산해야 함

 

 

 

👉열반스쿨 기초반 대전제

① 적극적으로 들어라(고3수험생처럼!)

② 당일날 요약, 느낀점, 적용점 적기

③ 환경세팅(투자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함 → 조모임 도움됨, 톡방이라도)

④ 적용점을 ‘이거 하나는 실행해야지’라고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 것 

+ 강의내용 열심히 정리하기

 

이번 주는 ①번이 좀 약했던 것 같습니다. 정말 너무도 집중이 되지 않았어요ㅠ (이 시간까지 후기를 붙잡고 있는 것부터가^^;;;) 그래도 뭐라도 해야한다는 마음으로 일단 열심히 적었습니다. 나중에 복습하면서 다시 돌려보면 좀 더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이번 적용점은 “독서”와 “환경세팅” 그리고 “긍정”입니다.

옛날엔 경제 관련된 책이 너무 재미가 없어서 시도조차 하지 않았는데, 회사 선배님이 추천해준 책이 있어서 2주동안 열심히 읽어보려고 합니다. (책을 안 읽은지 꽤 돼서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추천 받았어요) 저번 주 목금 출퇴근 길에 프롤로그의 인터뷰를 듣고 이제 1강을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시작이 반이니까 이제 반만 더 가면 됩니다..!!ㅎㅎ

내일은 대망의 방청소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조원분들에게도 공부하고 싶은 환경을 만들겠노라고 이번 주 내내 말해두어서 진짜 할 수 있을 것 같아요.(조모임의 긍정적 예) 다음 주부터는 더 쾌적한 환경에서 집중할 수 있길~

그리고 ‘내가 할 수 있을까?’라는 의심이 아닌 “할 수 있다!”라는 긍정의 마음과 확신의 태도로 남은 한 해를 보내려고 합니다. 할 수 있다!!!고 외치며, 후기를 마칩니다.


댓글


파랑파랑
25. 06. 15. 12:32

와 흑임자떡님 집중하시기 어려웠다고 하셨는데 정말 최선을 다하는 모습 최고입니다👍 새롭게 알게된 용어도 직접 정리 해 보시는 좋은 후기네요~ 지금까지 잘 하신 것처럼 이번 주 원씽 선언 하신 것들 다 해내실 거라고 믿어요.☺️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