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중급반 45기 1주일 7일내내 책읽조 - 김밍키] #04독서후기 : 그릿 - 앤절라 더크워스

  • 25.06.15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책 이미지 삽입)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앤절라 더크워스

3. 읽은 날짜: 2025.06.15

4. 총점 (10점 만점): 8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제1부, 그릿이란 무엇인가]

-그릿이란? 열정과 결합된 끈기

성공한 자들은 재능보다 그릿이 더 중요했으며 잠재력보다 발휘되는게 더 중요했다.

-우리는 왜 재능에 현혹되는가?

우리는 일상성보다는 신비함을 선호하며 성공한자들을 천재같은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하면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돼서

-재능x노력=실력, 실력x노력=성취. 실력과 성취를 위해서는 모두 노력이 필요함.

-노력하지 않으면 잠재력일뿐, 노력으로 재능을 기량으로 발전하게 하고 기량이 결실로 이어지게 한다.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열정에도 끈기가 필요하다.

-그릿은 어떻게 기를 수 있는가? 유전적, 환경적요인에 의해 변하며 나이에 의해 그릿이 강해진다. 

 

[제2부, ‘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관심사를 분명히 하라.(=열정의 대상을 찾아라) 

관심사를 찾는데에는 오랜시간이 걸리며 열정은 기계처럼 오지 않는다.

관심사는 자기성찰이 아닌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전 된다.

주변사람들의 관심과 격려가 중요하다.

-질적으로 다른 연습을 하라.(=의식적 연습)

똑같은 시간, 똑같은 장소에서 연습을 습관화하라. 이러면 미적거리지 않고 바로 시작하게 된다. →루틴만들기

-높은 목적의식을 가져라.(=이타성의 중요성)

-낙관론자는 으레 자신의 고통에 대해 일시적이고 구체적인 이유를 찾는 반면에 비관론자는 영구적이고 전반적인 원인을 탓했다. 

 

[제3부, ‘내면이 강한 아이’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부모의 이기심을 엄격함으로 착각하지 마라

-문화가 정체성을 만들고 그릿을 만든다. 그런 문화인 곳에 있어라.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수많은 천재와 성공한 사람들에게는 나와는 다른 특별함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하지만 저자는 그들의 성공의 주된 요인은 재능보다는 그릿, 열정을 지속하는 끈기라고 말한다. 

어쩌면 내가 평범한 이유는 특별한 그들과 다르다고 치부하고 현실에 안주하고 싶어서 더 그랬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그들도 나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부동산 투자에 대한 열정을 지속하기 위해 나의 관심사를 어떻게 찾고 유지할지가 고민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의식적 연습”

→ 임장 나가서도 ‘목표’를 갖고 집중해서 보기

→ 시세를 딸 때도 기계적으로 하는게 아니고 가격감을 생각하며 ‘의식적’으로 집중하기

 

이미 잘하는 부분에 집중하기 보다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피드백을 적극저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함

→ ‘독강임투인’ 중에 내가 부족한 것을 보완해야겠다.

 

투자가 강한 사람은 의식적인 연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그러는 동안 자신의 노고에 대한 보상을 경험하면서 힘든 노력을 즐기게됐을 가능성이 있다. ‘고통까지 사랑하도록 학습된다.’는 설명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페이지수와 함께 적어보세요

 

(p.73)

성취=재능x노력의제곱

← 재능x노력 = 기술, 기술x노력 = 성취

 

(p.321)

강한 투지를 원한다면 투지가 넘치는 문화를 찾아서 합류하라.

 

(p.166)

독일 음악원의 초우수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최고수준의 전문 기량을 갖추기가지 10년간 약 1만시간을 연습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김밍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