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안녕하세요, 아모르입니다
이번 열중반 2주차 강의는 양파링님의 ‘시장 상황에 따라 전세 완벽하게 놓는 법 및 실전 투자사례’ 입니다.
얖파링님이 강의 서두에 설명하신 것처럼
아직 매수를 한것이 아니라서 남의 길 같겠지만,
매수하고 난 후 준비하는 것보다 매수 전에 ‘매수 후 어떤 그림이 펼쳐질지 알고 대비할 수 있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전세 셋팅 유형 3가지(일반 유형,주인전세,임차인 거주)의 특징과 주의할 점 및
대출(조건부 전세대출 제한)에 관한 부분도 세부적으로 설명해 주셨는데,
대출 관련 규정은 시기, 은행마다 다르기에 투자 전 최신의 전세 대출을 확인하고
대안을 생각해야 하는 <대응의 영역> 이라는 사실입니다.
매수를 진행할 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25년 전세 시장은
-서울 상급지 : 매매호가 상승으로 매매가 대비 전세가 상승은 덜하지만, 전세 물량이 많지 않음
입주가 있는 곳 : 매매가 상승은 더하고, 전세가 보합+하락하는 단지 있음
-지방 : A-10년간 입주 끝시기로 전세가 회복 중
B-전세 물량 귀하고 전세 대기까지 있음
인상 깊었던 점
1.전세 가격 설정 = 단지, 생활권, 공급
1단계 : 단지 내 전세가 비교
2단계 : 생활권내 전세가 비교
3단계 : 공급 물량 점검
2.임대 기간 설정 = 공급 , 수요 , 포트폴리오
1단계 : 공급 - 규모,시기,위치 확인
2단계 : 수요 - 내가 투자하는 지역, 단지, 평형 특징 파악
3단계 : 포트폴리오 - 재계약 시기 분산
적용해보고 싶은 점 (매수 후 전세를 놓는 다는 가정 시)
1.네이버 부동산 ‘호가’ 확인 ,아실 ‘최근 실거래가’ 활용하여
ㄱ)단지내 전세가 비교+ 매물 갯수 파악,
ㄴ)생활권내 흐름을 같이 하는 단지 비교,
ㄷ)부동산 지인 > 지역 공급+예정 물량 파악하기
실제 투자 사례를 통해 알려주신 내용들은
경험없이는 알수 없는 내용들이라 더 감사했습니다.
투자 기준,비용등 계획과 다르게 진행되는 투자들도 생기게 되고
같은 지역의 공급량을 반영하지 않을 시 생기게 되는 리스크등
전세가 빠지지 않을때의 고군분투한 내용,
최고가<야망전세가>를 받기 위해 욕심을 너무 많이 부리면 힘들어지는 것등
투자자로서 살게 되면 앞으로 발생 될 내용들이겠죠??
항상 열정 가득한 강의 내용 감사드리고, 제 껏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아모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