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Talk

[강의 내용 문의] 표준편차, 샤프비율, 배당성장률, 배당수익률=> 비교평가 기준값의 감이 잡히지 않아요

  • 25.06.19

미국주식 기초부터 백만원까지 강의를 수강하면서 과제를 하고 있는데요.

각 섹터별로 표준편차, 샤프비율, 수익률, 배당성장률, 배당수익률을 보고 있는데요.

아직 낯설어서 그런지 어렵네요. ^^;

 

수치들을 보면 단순히 기간에 따라 어떠한 흐름인지(지속적으로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 변동성이 있는지 등…)는

파악할 수 있는데요.

보통 이러한 수치를 파악할 때의 기준을 정확하게 모르니 숫자를 보면서도

유의미한 분석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요.

 

 

예를 들어 XLK

기간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20242025
배당금($)0.72360.76570.84330.87610.99251.05911.19621.1221.29081.45931.52370.3749
배당성장률18.905.8110.153.8813.286.7112.95-6.2015.0413.064.41-75.40
배당수익률1.751.791.741.371.61.160.920.651.040.7600.67

 

 “배당수익률의 경우 보통 3%이상을 기대하는데 전반적으로 배당수익률은 낮은 편이구나~~”이런 비교 기준점이 궁금해요.

마찬가지로 배당성장률은 어느정도가 나오면 보통이라고 여기는지,

표준편차는 어느 수치를 넘으면 변동성이 크다고 보면 좋을지,

샤프비율, 수익률도요….

 

 종목명XLK수익률XLK(%)
표준편차3년22.441개월2.71
5년21.52연중3.97
10년19.311년5.18
샤프비율3년0.683년25.68
5년0.825년19.67
10년0.9310년20.36

 

 

과제를 하면서 느꼈던 주린이의 궁금점이었습니다. :)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광화문금융러user-level-chip
25. 07. 08. 09:33

고정됨 | 안녕하세요^^ 일단 S&P500(시장 평균)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지가 하나의 기준입니다. 그래서 강의에서 S&P500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확인해보시라고 말씀드린 부분이고요. 그리고 절대적으로 어떤 수치가 높다 낮다를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 시험을 봤다고 할 때 90점을 맞았다고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90점이라는 점수가 우수한 성적이라 볼 수 있지만, 30명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98점이라고 하면 90점은 매우 낮은 수준이죠. 이렇게 시험의 난이도와 상대적인 성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표준 편차 등의 지표를 보실 때에도 1) 시장 평균 수준 S&P500 대비 기준 2) 다른 섹터와의 상대적 기준을 보고 가늠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