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4권읽고 5채해서55억벌조 욜량] 몰입_ 독서후기

  • 25.06.24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알에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 2025.6. 22 

4. 총점 (10점 만점): 9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15p 최선을 다했다고 스스로 확신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직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은 능력 부족일지는 몰라도 노력을 게을리 한 탓은 아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한가지 배운 것은 최선을 다하면 실패해도 아쉽거나 후회스럽지 않다는 점이다. 무수한 실패도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어떤 일에 최선을 다했다면 실패를 했더라도 후회가 없고 더 나아갈 수 있지만 그 순간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면 실패를 더 크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매순과 실력이 부족한게 문제가 아니라 할 수 있는 것에 최선을 다하는가 가 중요하다는 걸 느끼게 되었습니다.

 

p56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야말로 열심히 생각하는 것에 인생을 송두리째 던져볼 만했다. 이른바 ‘Work Hard’의 패러다임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일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 탄 것이다.

-열심이 행동만 해서는 안되고 생각도 같이해야  효과는 훨씬 크다. 행동만으로 어떻게 되겠지는 너무 느린다

 

p97 땀을 흘릴 수 있는 규칙적인 운동은 고도의 집중 상태인 몰입을 시도하는 과정에 큰 도움이 되고 몰입 상태를 유지하는 데도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다. 중략…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점이 바로 몰입할 때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주어진 문제를 천천히 생각하는 몰입 활동도 자신감을 좌우하는 열쇠가 된다.

- 스트레스를 받지않는 규칙적인 운동은 고도의 집중을 생태인 몰입에 도움을 준다.

 

p111 몰입 기간에는 오로지 주어진 문제만을 반복하여 생각해야 한다. 그러면 해마는 그 문제를 푸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받아 들여 장기기억에 저장할 것이다. 몰입 상태에서는 매일 그 문제만을 생각하기 때문에 계속 그 문제가 장기기억에 저장돌 것이고 결국 신체는 이 문제를 푸는 것을 목숨이 걸린 것 만큼이나 중요하게 여기게 되다.

 

p119 중요한 아이디어는 대부분 수면 중에 얻어지며, 수면 중에 뇌는 각성 상태와는 다른 초능력에 가까운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략..아이디어가 떠오른 순간은 우연처럼 느껴지지만 몰입적인 사고를 한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필연적인 결과다.

 

p121 몰입은 즐거움과 특별한 감정을 동반하는 놀라운 경험이다. 몰입상태에 이르면 즐거움과 쾌감이 증폭되어 온몸을 감싸게 되는데, 특히 일주일 이상 몰입이 유지도면 쾌감에 도취되어 있는 듯한 느낌에 사로 잡힌다.

중략.. 하루하루 , 순간순간이 감격으로 채워지고 가슴 깊은 곳에서 무어라 설명하기 어려운 고요한 행복감이 밀려온다. 

-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할때는 힘든지 모르고 시간가는 줄도 몰랐던 적이 있었는데 저자가 말하는 부분을 보면서 몰입할 수 있게 만들면 즐거울 수 있겠다는 생각에 공감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p126 가치관을 바꾸는 일은 사람을 바꾸는 일이다. 가치관이 바뀌면 그 효과는 평생 지속된다. 몰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관이 바뀌면 자신이 하는 일이 여타 다른 일에 비해 휠씬 더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던질 만한 가치가 있다느 확신이 들게 된다.

 

p143 문제가 급하고 중요하다고 해서 서둘러 실험만 하려고 하면 오히려 해결이 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는 천천히, 그리고 깊게 생각해야 해결할 수 있다. 논리적으로 하나씩 분석하여 조금씩 포위망을 좁혀 나가야 한다. 그런 다음 필요한 실험을 체계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급할 수 록 천천히 , 깊게 생각하려고 하자

 

p147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때로는 즐겁고 행복하다고 느끼고 때로는 우울하고 괴롭다고 느낀다. 이런 감정은 대부분 직접적인 원인에 의해 생겨나지만 가끔은 특별한 이유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즐겁거나 우울한 감정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을 알고 그것을 조절하면서 살아갈 수만 있다면 삶이 한결 풍요로워질 것이다.

 

p160 인내력은 성공적인 삶을 위해 갖춰야 할 필수 덕목 중 하나다.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인내력이 필요하다. 몰입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 곳곳에는 예상치 못한 숱한 난관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인내력을 형성하는 뇌과학의 매커니즘을 알고 있으면 몰입에 이르는 길이 한결 수월할 것이다.

-몰입에 들어 가는 과정에 인내력을 갖추어야 한다. 

 

p163 긍정적인 보상과 부장적인 보상이 유도하는 목적지향성은 우리뇌가 작동하는 기본 메커니즘이다. 그러므로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위기감을 활용하거나, 재미를 활용하거나) 목적지향을 이용하여야 한다. 

-급박한 상황이 만들어지고나 재미가 있어서 하는 동안에는 집중을 하는데 이런 사항을 알고 몰입을 해야한다.

 

p164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강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면 절실성이 증가하여 실수에 대한 부정적인 보상이 크고 성공에 대한 긍정적인 보상이 커진다. 이는 경기에 임하는 모든 활동의 결과로 흥분의 정도 , 즉 의미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목적지향에 대한 신체의 노력은 극대화가 되면서 몰입도가 올라간다.

 

p165 우리는 어떠 ㄴ목표를 정하면 맹목적으로 그 목표를 추구하는 본능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목표 의식을 강화시켜 성취 동기를 북돋우는 노력이 궁극적으로 자신의 일에 대한 흥미와 수행 능력을 올리는 결과로 이어진다. 어릴 때 꿈을 크게 가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p191 어떤 일을 하는 것이 좋아서 미친 듯이 돌진하는 능동적인 몰입이며, 그 일을 하지 않으면 큰일나는 위기 상황에서 일어나는 수동적인 몰입이다. 통상 취미 활동에서는 주로 능동적인 몰입을 하지만 직장에서 직무를 수행할 때는 주로 위기 상황에 의한 수동적인 몰입을 하게 된다.

-투자공부를 하는 과정이 능동적 몰입이라 할 수 있는데 지치고 힘들 땐 수동적으로 바뀌는 거 같다.  수동적에서 능동적으로 바꾸는 몰입이 필요하다 생각이 든다.

 

p196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오늘 하루 내가 한 일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활동은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이었나 ?이런 일살이 반복된다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 이 질문이 바로 스스로 몰입을 선택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p203 도무지 어떻게 접근해야 할 지 모르고 난감하게 느껴지는 경우, 포기하지 않고 계속 생각하면 고도의 창의적인 두뇌가 활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자신의 두뇌 능력의 한계를 계속 사용하게 된다. 

 

p207 99번은 틀리고 100번째가 되어서야 비로소 맞는 답을 얻어낸다고 하였다. 그런데 99번 틀린 경우는 창의적인 노력을 한 것이 아니고 100번째 맞는 답을 얻어냈을 때만 창의적인 노력을 한것이라고 보아야 하는가 ? 분명한 것은 결과만 가지고 창의적인 노력을 구분짓는 것은 잘못이라는 것이다. 즉 ‘창의적인 노력은 처음에는 해결책을 모르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해결책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활동’이다.

 

p208 한계를 뛰어넘는 문제를 풀려고 노력하는 활동은 비록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한다 하더라도 큰 의미가 있다. 이렇게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훨씬 더 강도 높은 사고 체계를 가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모르는 문제를해결하려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은 발달된다.

 

218p 1분밖에 생각할 줄 모르는 사람은 1분 걸려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밖에 못 푼다. 60분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은 그보다 60배니 난이도가 높은 무넺를 해결할 수 있으며 , 10시간 생각하는 사람은 그보다 600배 나 나이도가 높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66p 최상의 컨디션을  장기간 계속 유지하면 자연스레 성공하는 삶의 방향으로 가게 된다. 반면에 나쁜 컨디션을 장기간 계속 유지하는 사람은 삶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몰입이라는 것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기 보다는 내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에 성취감을 느껴 오히려 기분이 좋아지고 컨디션이 좋아지는 현상이 보여진다.

-목표의식이 있어야 몰입을 할 수 있고 능동적, 수동적 몰입 중 능동적 몰입을 해야 한다.

-몰입을 하려면 체력이 뒷받침 되어야 하고 힘들지 않은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야 몰입에 도움이 된다.

-급한 일을 당장 처리하기 앞서  생각을 깊이 해봐야 한다.

-싫게만 느껴지는 것들도 계속 하다보면 덜 싫어진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하루 일과 중에 20분 생각하기를 습관화 한다.

-잠들기 전/후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메모장에 적어 보는 습관을 들여 보자.

-몰입할때는 방해요소를 제거 하고 하나에만 집중하도록 한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237 본능은 원하지 않는데 억지로 일을 하는  Work Hard의 패러다임은 본능이 원해서, 자기 자신이 좋아서 하는 Think Hard의 패러다임의 효율을 절대 따라갈 수 없다. 일이 삶의  수단이 되는 것보다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어야 보다 의미 있고 삶다운 삶을 살 수 있다.

 


댓글


뚜야
25. 06. 25. 12:33

언제나 빠르게 완독하시는 성실한 욜량님!! 하루 20분 생각하기 습관 너무 좋네요^^

깐승
25. 06. 27. 17:25

3주차도 완독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그릿도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