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 _ 부동산 트렌드 2024 후기 [열중반 45기 이책 뿌시고 한강뷰 84㎡ 살조 보보12]
25.06.28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부동산 트렌드 2024
2. 저자 및 출판사: 김경민 / 와이즈맵
3. 읽은 날짜: 2025.06.24~26
4.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전세가격 #입지 #수요와공급
5. 총점 (10점 만점): 9.5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와 반등 흐름, 지역별 온도차, 향후 변수들을 빅데이터를 통해 체계적 분석. 사람들이 시장 가격 변화를 항상 늦게 인지한다, 흐름을 먼저 읽는 자만이 승자가 될 수 있음.
서울은 2021년 11월부터 본격 하락했고 2023년 1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했으며, 수도권과 주요 광역시들은 2020년 이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성을 보였다. 하지만 지역별로는 수도권, 부울경, 충청권, 광주·대구 등으로 구분되어 지역경제, 입주 물량, 유동성에 따라 시장 흐름이 달라질 수 있음.
특히 공급 부족과 인허가 물량 감소가 향후 수년 간 입주 물량에 영향을 미쳐 다시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높다. 서울 주요 지역의 사례(강남·분당·수지, 노원·남양주·의정부, 마포·일산·파주 등)를 비교를 통해 상승과 하락 시점의 시차, 누적 상승률 차이, 대체재 역할 같은 투자 포인트도 보여준다.
아파트 단지의 입지 조건, 특히 초등학교와의 거리(이른바 ‘초품아’)가 가격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소형 평형대 아파트는 대형 평형보다 하락기에 강하고 상승 속도가 빠르다는 데이터 통계가 있음
코로나, 금리 인하, 유동성 공급, 인플레이션, 국고채 금리의 흐름과 같은 거시경제 변수 중국·미국 요인, 국내 정치 이벤트까지 다뤄 앞으로의 리스크와 기회를 냉정히 분석함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사람들은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가격의 상승을 인지하는데에는 시차가 있음. 먼저 시장 흐름을 이해하는 사람들이 승자가 됨
수도권 내에서도 폭등 시점이 다르다. 강남, 분당, 수지를 예시로 들면 거리순으로 폭등이 시작됨. 도착점은 같다(21년 10월)
서울 아파트는 장기 투자 관점(보유)에서 시장에 접근해야함. 인구가 줄고 대기수요가 없는 지방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전세가격은 ‘입주 물량’과 바로 연결됨.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거주지를 옮기는데 대략 7.5년 소요(수도권은 6년)
현재 개발 비용(토지비 + 공사비 + 기타경비)가 너무 높아 아파트를 지으면 손해가 막심하다. 따라서 향후 개발 물량이 적다. 이것은 공급 부족으로 연결됨
빌라의 인기가 적어 공급이 줄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빌라 전세가 상승. 차라리 아파트를 사지라고 생각하는 수요가 늘 것. 장기적으로는 빌라 건설 물량 부족이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짐.
초품아는 아닌 단지에 비해 6300만원 정도 비쌈. 초등학교에서 100m 멀어질수록 1200만원 하락
작은 평형대 아파트의 가격 하방경직성이 더 강하며 가격 상승 움직임이 더 빠르다. 이는 고가 아파트에 비해 저가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들의 수(수요층)가 더 많기 때문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사람들이 가격의 상승을 인지하는 시점은 늦다. 사람들의 생각과 내 생각이 비슷하다면 그때는 늦은 것. 임장을 다니며 상승할 것 같은지역들을 미리 파악해보자
서울 아파트는 인구가 많고 대기 수요가 많기 때문에 대응하기 쉬움. 장기 투자 관점에 접근하자. 지방은 반대
전세 가격은 입주 물량과 연결되므로 공급을 파악하자
작은 평형대의 수요가 훨씬 많다. 매매가의 변동성이 더 빠르다.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
→ 반대로 생각하면 큰 평형대는 변동이 느리다라고 생각할 수 있음
생각보다 복잡한 용어들이 많다. PF 대출. 빌라 전세가 상승. 개발 비용 문제 등등 복잡한 문제들이 많다. 향후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매매가가 더 상승하지 않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미국과 비슷한 월세 시장으로 변동이 될 것이다. 이런 흐름들을 천천히 공부해보며 알아가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