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앤젤다 더크워스/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5.6.23~6.28
4. 총점 (10점 만점): 9/ 10점
제1부 그릿이란 무엇인가
제1장 그릿, 성공의 필요조건
제2장 우리는 왜 재능에 현혹되는가?
제3장 재능보다 두배 더 중요한 노력
p.63 “최상급 기량은 사실 수십개의 작은 기술 및 동작 하나하나를 배우거나 우연히 깨치고, 주의 깊은 연습을 통해 습관으로 만들고, 전체 동작으로 종합해서 나온 결과물이다”-댄 챔블리스
p.68 “우리의 허영심과 자기애가 천재 숭배를 조장한다. 왜냐하면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고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신적인 존재’로 부르면 우리는 그와 경쟁할 필요가 없어진다.”-니체
p. 71 재능X노력=기술, 기술X 노력=성취
p. 79 “일단 출석만 하면 8할은 성공이다”-우디 앨런
p. 81 많은 이들이 시작했던 일을 너무 빨리, 너무 자주 그만두는 듯하다. 어느 날 하루 기울이는 노력보다는 다음 날, 그 다음 날도 눈을 뜨면 러닝머신 위에 올라갈 각오가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제4장 당신의 그릿을 측정하라
p 84~85 “ 우선 탁월성에 도달하는 데는 지름길이 없기 때문이에요”
“ 정말 중요한 점은 이거에요. 그릿은 학생이 매우 관심이 있어서 계속 고수할 용의가 있는 일에 노력을 기울이는 거에요”
“ 자신이 사랑하는 일을 하는 거지만 그냥 사랑에 빠지만 안되고 지속시켜 나가야만 하죠.”
p 99~100 우선순위를 정하는 3단계-버핏
1. 직업상 목표 25개를 쓴다.
2. 자신을 성찰해가면서 그 중에 가장 중요한 목표 5개에 동그라미를 친다. 반드시 5개만
3. 동그라미를 치지 않은 20개의 목표를 찬찬히 살핀다. 그 20개는 당신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피해야 할 일이다. 당신의 신경을 분산시키고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고 더 중요한 목표에서 시선을 앗아갈 일이기 때문이다.
제5장 그릿의 성장비밀
p. 128 일단 지금의 자기 위치를 이해하는 일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원하는 만큼 그릿이 없다면 그 이유를 스스로에게 물어라. 사람들이 어떤 일을 포기할때는 각양각색의 이유로 포기한다.
p. 129~130 성숙한 그릿의 전형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4가지 심리적 자산
1. 관심 2. 연습 3. 목적 4 희망
제2부 ‘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제6장 관심사를 분명히 하라
p. 138 1. 사람들은 개인적 관심과 일치하는 일을 할때 직업에 훨씬 만족감을 느낀다.
2. 사람들은 일이 흥미로울때 높은 성과를 올린다.
p. 151 고압적인 부모와 교사가 내적 동기를 파괴한다는 사실을 입증
제7장 질적으로 다른 연습을 하라
p. 167 에릭슨의 연구로 밝혀진 결정적 사실은 전문가들이 더 ‘오래’ 연습한다는 것이 아니다.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문가들의 연습은 ‘다르다’는 점이다. 우리 대부분과 달리 전문가들은 에릭슨이 말하는 ‘의식적인 연습’을 수천, 수만시간동안 한다.
p. 172 “노력없이 얻어지는 결실은 없다”-프랭클린
p. 179 “숙련된 사람들은 수행중에 가끔씩 매우 즐거운 상태를 경험할수 있다. 하지만 이런 상태는 의식적인 연습과 양립할 수 없다”-에릭슨
p. 182 의식적인 연습은 준비과정에서, 몰입은 실제 수행 중에 필요하다.
p. 185~186 의식적인 연습을 할때 , 많은 사람들이 아직은 할수 없는 일을 시도할때 좌절감과 불편함, 심지어 고통을 느낀다.
p. 194 의식적은 연습을 황홀한 몰입처럼 만들수 있는지에 대한 아직 잘 모른다. 그러나 스스로에게 그리고 타인에게 “ 힘들었어요! 그래도 좋았어요” 라고 말할만큼 노력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제8장 높은 목적의식을 가져라
p. 202 목적지향성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 점수도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제9장 다시 일어서는 자세, 희망을 품어라
p. 231 무력감을 낳는 요인은 고통 그 자체가 아니라는 사실을 최초로 입증해줬다. 문제는 자신이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고통이었다.
p. 238 “할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수 있고 할수 없다고 생각하면 할수 없을 것이다” -헨리포드
p. 243 성장형 사고 방식과 그릿을 강화하는 표현: “열심히 배우는 구나! 마음에 든다”
“ 결과가 안 좋았네, 어떤 식으로 했는지, 어떻게 하면 나을지 이야기해보자”
“ 참 잘했어! 더 개선할 부분은 뭐가 있을까?”
“ 어려운 거야. 아직 못 한다고 해서 상심할 것 없어. ”
“ 나는 목표 기준을 좀 높게 잡아. 같이 그 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내가 이끌어줄게.”
p. 246 말과 행동의 불일치를 조심해야 한다. 고정형 사고방식과 비관적 관점이 나온다면 고정형 사고방식에 그 특징은 딴 이름을 붙이고 말해보라고 권한다.
p. 251 어린 쥐에게 닥친 죽지 않을 만큼의 시련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상황을 통제할 수 있었을 때만 강인한 어른 쥐로 성장시켰다.
제3부 ‘내명이 강한 아이’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제10장 그릿을 길러주는 양육방식
제11장 그릿을 기르는 운동장
p. 300 “과업 완수는 특정 활동에 목적의식을 갖고 지속적으로 노력했는가, 또는 여러 활동을 산발적으로 했는가를 기준으로 평가된다. ”
p. 314 학습된 근면성
p. 315 우리 가족에게는 ‘어려운 일에 도전하기’ 규칙이 있다. 이 규칙은 세가지 조항으로 구성돼 있다.
1. 엄마와 아빠를 포함한 ‘온 가족이 어려운 일에 도전해야 한다’는 약속이다. 그것은 매일 의식적인 연습이 필요한 일이다.
2. 어려운 일도 그만둘수 있다
3. 스스로 어려운 일을 선택한다
제12장 강력한 그릿 문화의 힘
p. 322 “훌륭한 수영선수가 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훌륭한 팀에 들어가는 거에요”. 최정예 팀일수록 팀의 수준을 유지하려는 기존 선수들의 열망이 강하다.
p. 324 적절한 상황하에서 시간이 갈수록 우리가 속한 집단의 규범과 가치는 우리 자신의 것이 된다.
p. 327 뜻이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릿과 가장 유사한 핀란드어는 시수이다. 그릿은 특정 상위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열정 그리고 이를 완수하는 끈기로 규정된다. 반면에 시수는 끈기맘ㄴ 강조한다. 시수는 핀란드인이 정신적 유산으로 갖고 태어난다고 믿는 내적인 힘, 일종의 심리적 자원을 지칭한다. 말 그대로 시수는 한 개인의 속마음, 베장을 가리킨다.
p. 329 1. 자신은 힘겨운 역경도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은 그런 자아개념을 확증해주는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2, 내적 에너지원이 있다는 생각이 터무니 없다 해도 비유가 이보다 적절할 수는 없다.
제 13장 천재가 아닌 모든 이들에게
p. 362 천재를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부단히 탁월성을 추구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면 아버지도 천재고, 나도 코츠도 천재다. 그리고 여러분도 부단히 노력할 마음만 있다면 천재다.
나는 이제까지 각양각색의 이유들로 그릿들을 포기하고 살았었던 것 같다.
1. 관심 2. 연습 3. 목적 4 희망 을 가지고 우리 가족들과 같이 규칙을 만들어서 그릿을 만들어 나간다면 추후에는 “힘들었어요! 그래도 좋아어요” 라고 말할만큼은 돼지 않을까..
우리 가족에게도 ‘어려운 일에 도전하기’ 규칙을 만들어서 그릿을 만드는 연습
p. 194 의식적은 연습을 황홀한 몰입처럼 만들수 있는지에 대한 아직 잘 모른다. 그러나 스스로에게 그리고 타인에게 “ 힘들었어요! 그래도 좋았어요” 라고 말할만큼 노력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