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몽그릿] 4주차 독서 후기 - 그릿

  • 25.06.29
그릿 책 리뷰 줄거리, 본문 - 그릿 뜻 (그릿 GRIT 리뷰) : 네이버 블로그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앤젤라 더크워스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5.06.25~25.06.30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1. 위기 대처 능력과 재능은 아무 상관이 없다는 놀라운 사실을 목격했다. 실제로 훈련 도중에 포기하는 신병들 중

    그 이유가 능력이 부족해서인 경우는 드물엇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 태도였다. p27

 

 2. 요컨대 분야에 상관없이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은 굳건한 결의를 보였고 이는 두 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첫째, 그들은 대단히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그들은 결단력이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갈 방향도 알고 있었다. 성공한 사람들이 가진 특별한 점은 열정과

     끈기였다. 한마디로 그들에게는 그릿이 있었다.p29

 

 3. 제 경우에는 두 배로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거듭해서 하다 보면 타고난 재능이 없는 일도

    제2의 천성처럼 된다는 것을 깨달았죠. 그 일을 할 능력이 있기는 하지만 하루아침에 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p75

 

 4. 내가 말하는 열정은 단순히 관심 있는 일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것은 동일한 최상위 목표에 변함없이

    성실하고 꾸준하게 관심을 둔다는 의미다. 변덕스럽지도 않다. 열정은 날마다 잠들 때까지 생각했던 질문을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부터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p96

 

 5. 흥미를 다시, 또다시 자극해줘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흥미를 자극할 방법을 찾아라. 그리고 인내심을 가져라

     관심이 발전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 대답들이 다시 질문으로 이어지게해서

     관심사를 계속 파헤쳐라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을 찾아라. 격려해주는 멘토에게 다가가라 p162

 

 6. 에릭슨의 연구로 밝혀진 결정적 사실은 전문가들이 더 ‘오래’연습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문가들의 연습은 ‘다르다’는 점이다. 우리 대부분과 달리 전문가들은 에릭슨이 말하는 ‘의식적인 연습’을

    수천, 수만 시간 동안 한다.

 

 7.  명로하게 진술된 도전적 목표, 완벽한 집중과 노력, 즉각적이고 유용한 피드백, 반성과 개선을 동반한 반복

     p189

 

 8. 그릿이 얼마나 있든 그것과 상관없이 사람들은 쾌락을 적당히 중시한다. 반면에 그릿이 높은 사람들은

     의미 일수록 타인중심적 삶을 추구하는 동기가 다른 사람들보다 대단히 강한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목적지향성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 점수도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p202

 

 9. 그랜트의 연구에 의하면 개인적 흥미와 친사회적 관심 둘 다를 지닌 지도자나 직장인들이 100퍼센트

    자기중심적인 동기만 가진 이들보다 장기적으로 실적이 좋았따. p216

 

 10. 모든 그릿의 전형이 현명한 부모 밑에서 자라는 혜택을 누리지는 못했다. 하지만 내가 면담했던 모두의

     인생에는 적절한 순간에 적절한 방식으로 목표를 높게 잡으라고 격려해주고, 그들에게 절실히 필요했던

     자신감을 복돋아주며 지지해준 사람이 있었다. p289

 

 11. 그릿이란 한 번에 한 걸음씩 계속 나아가는 것이다. 흥미롭고 목적이 뚜렷한 목표를 굳건히 지키는 것이다.

     매일, 몇 주씩, 몇 해씩 도전적으로 연습하는 것이다.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 일어나는 것이다. p359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2)번 내용 : 뚜렷한 목표가 꾸준하게 할 수 있는 그릿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회복탄력성도

    중요하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 일 수 있는데 회복에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시 하지

    못했다. 다른말로하면 행복버튼이라고 생각되는데 투자와 관련된 힘든 부분의 보상을 확실하게 루틴으로 만들고

    그 일을 해냈을 때 힘듦 보다는 즐거움의 인식으로 만들어 회복탄력성을 만드는게 중요하다고 느낌

 

 2. (5) ‘의식적’으로 흥미를 계속 자극시켜줘야 한다는 부분의 눈에 와닿았다. 어찌보면 강의를 듣고 월부환경안에서

     있는것 자체가 흥미를 계속 자극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행동을 한다면 다른 의미가 부여

     된다 생각한다. 그리고 이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질문하고 반복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성을 다시 한 번 느낀다.

 

 3. (6) 예전에 멘토님이 이야기해주신 부분이 많이 와닿았다. 오래한다고만 해서 잘하는게 아니라고, 책에서도

     명확하게 이야기하는 부분이 ‘의식적인 연습’을 수천 수만 시간을 한다고. 그래서 투자 시간에 단순히 시간을

     채우는게 아니라, 시세를 따든, 임보를 쓰든 임장을 하든 의식적으로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떻게

    의식적으로 질적으로 채울 수 있는지를 고민해서 행동해야겠다.

 

4.  (8) 이타적인 삶, 즉 기버의 내용이 그릿에서도 나온다. 이타적인 행동이 그릿에도 큰 영향을 준다고 이야기해준다.

    나의 목적을 가기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것, 이왕이면 그 행위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장치를

    만드는게 중요하다 생각한다.

 

5. (11) 7전 8기의 포기하지 않는 부분은 결국에 뚜렷한 목표가 가장 중요한 부분임을 다시 깨닫는다. 단순히 포기

    하지 않기 위해선 ‘why’에 대한 이유가 명확해야 함을 한번 더 생각할 수 있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흥미를 다시, 또다시 자극해줘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흥미를 자극할 방법을 찾아라.

 

  → 흥미를 자극 하는 방법중에 하나는 새로운 영역에 도전해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방법을 질문하고

      새로운 것을 해내는 즐거움을 통해 흥미를 만든다. 그리고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선 기존에 하던 것들을

      시간을 줄여서 확보를 해야하는 부분도 생긴다. 새로운 영역에 도전에서 흥미와 기존에 하던 영역에서도

      성장의 영역을 만들어봐야겠다.

 

 2. 최대한 좋은 환경에 머물려고 노력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그릿이 얼마나 있든 그것과 상관없이 사람들은 쾌락을 적당히 중시한다. 반면에 그릿이 높은 사람들은

     의미 일수록 타인중심적 삶을 추구하는 동기가 다른 사람들보다 대단히 강한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목적지향성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 점수도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p202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몽그릿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