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Simon Kim] '나에게 맞는 투자지역과 투자로드맵' 에 대하여 (4주차 강의 후기)

  • 25.07.01

열반스쿨 중급반 - 계약부터 전세까지 실전투자 A to Z

안녕하세요? Simon Kim입니다!

 

4주차 강의 수강을 마치고 후기를 작성하려 합니다.

월부 라이브 또는 유튜브에서 자주 뵀었던 주우이님이 강의하시는 거라 더욱 기대가 되었던 강의였습니다.

1,2,3강 까지는 실제 투자 진행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들을 배웠다면 이번 4강에서는 내가 투자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큰 그림을 그려주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강의였다고 생각합니다. 4강 강의를 잘 정리해서 조만간 투자 로드맵을 다시 그려봐야겠습니다 🙏

 

[인상 깊었던 부분]

-. 수도권과 지방의 사이클의 차이가 있다. 수도권은 8~12년 정도의 사이클이며, 지방은 4~6년 정도의 비교적 짧은 사이클을 가지고 있다.

 

-. 사이클 차이가 나는 이유는 3가지

(1) 땅의 규모가 다르다 

  • 수도권은 굉장히 규모가 넓어서 상승 흐름의 시차가 늦게까지 넓게 퍼짐
  • 지방은 개별 도시별로 상승흐름이 퍼지고, 도시별 규모가 작아 빠르게 퍼짐

     

(2) 수요가 다르다

  • 수도권의 인구, 수요는 어마어마하게 크지만 지방은 수요가 비교적 많이 적음

 

 (3) 전세가율이 다르다

  • 수도권은 매매, 전세 흐름이 다르게 가는 경우가 많은데, 지방은 전세가 먼저 움직이고 매매가 같이 따라간다

 

-. 수도권 투자 해야하는 사람 vs 지방 투자 해야하는 사람

  • 수도권 : 종잣돈 1억이상 / 매년 저축액 5천~1억 / 보유 길게하여 매도를 좀 더 기간을 두고 해야하는 사람 (부린이)
  • 지방 : 종잣돈 3천~1억미만 / 매년 저축액 5천이하 / 매도를 타이밍 보고 잘할 수 있는 사람 (중수이상?)

 

-. 처음에는 효율성 따위는 없다. 그냥 시간 때려 박아야 나중에 효율 올라감

현재 시장은 수도권이 오르는 시장이기 때문에 지방 가게 되면 수도권 투자 기회 놓칠까봐 겁나고,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여 내가 투자할 수 있는 곳만 딱 임장하고 싶어한다. 처음에는 효율성이 있을 수 없다. 그러니 일단 계속 시간 가지면서 꾸준히 가장 좋은 투자 하기 위해 지역 다 보고 오자.

 

-. 지금 내게 맞는 좋은 단지 찾기 어려운 이유

(1) 아는 단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지금 보고 있는 단지가 가치가 있는 저평가 단지인지 확신이 없음

(2) 아는 단지의 가격이 잘 기억나지 않기 때문에 비교 어려움 → 이럴 땐 각 단지들의 위치를 잘 기억해야 가격 입힐 때 좀 더 쉽게 기억한다

 

-. 다주택자를 원한다면,

(1) 투자 1채당 수익은 1억정도로 잡으면 무난 (좀 더 좋은 아파트는 1채당 2억까지 OK)

(2) 다주택자는 무조건 가치 대비 저렴한 아파트를 매수해야 함을 다시 한번 명심

(3) 2번을 만족한 상태에서 '비수도권 지역에 소재하는 공시지가 2억 이하 아파트는 취득세 중과X, 주택수 포함X 혜택을 적극 활용하자


댓글


Simon Kim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