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그릿
[인상 깊은 내용]
1부 그릿이 무엇인가
p.29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은 굳건한 결의를 보였고 이는 두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첫째,그들은
대단히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그들은 결단력이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갈 방향도 알고 있었다. 성공한 사람들이
가진 특별한점은 열정과 결합된 끈기였다. 한마디로 그들에게는 그릿이 있었다.
p.37 우리가 잠재력을 갖고 있는것과 그 잠재력의 발휘는 별개라는 사실이다.
p.57 재능에만 집착하는 자세가 해로울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간단하다.
재능만 집중 조명함으로써 나머지 모두를 가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릿을 비롯한 다른 요인들이
실제보다 중요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은연중에 보낼 수 있다.
p.71 동일한 환경에 놓인 개인들을 고려할 때 각자의 성취는 오직 재능과 노력 두 가지에 의해
좌우된다고 본다. 물론 기술이 향상되는 속도인 재능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노력은 위의 등식에서 한 번이 아니라 두 번 인수로 고려된다. 노력을 통해
기술이 생긴다. 동시에 노력은 ‘생산적’으로 만들어 준다.
p.81 어느 날 하루 기울이는 노력보다는 다음 날, 그다음 날도 눈을 뜨면 러닝머신 위에
올라갈 각오가 되어 있는것이 더 중요하다.
p.96 열정은 단순히 관심 있는 일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것은 동일한 최상위 목표에 변함없이
성실하고 꾸준하게 관심을 둔다는 의미다. 변덕스럽지도 않다. 열정은 날마다 잠들 때까지 생각했던
질문을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부터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옆 걸음질 치거나 다른 곳으로 가지 않고
같은 방향을 향해서 한 발짝이라도 더 나아가기를 열망한다. 극단적일 경우 그런 집중력이 집착으로 불리기도 한다. 열정이 있다면 모든 행동의 의의를 궁극적 관심,즉 인생철학에 부합하는 데서 찾게 된다.
열정은 우선순위를 확실하게 만든다.
p.129 성숙한 그릿의 전형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네 가지 심리적 자산이 드러났다.
첫째는 관심이다. 내가 조사했던 그릿의 전형들도 모두 자신의 일 중에서 재미가
덜한 측면이 있었고, 전혀 즐겁지 않은 잡일이지만 참고 하는 일이 적어도 한 두가지는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자기 일에 푹 빠져있고 일에서 의미를 발견한다.
둘째는 연습이다. 어제보다 잘하려고 매일 단련하는 종류의 끈기를 말한다. 그러니까 특정 영역에 관심을
느끼고 발전시킨 다음에는 온 마음을 다해 집중하고 난관을 극복하며 기술을 연습하고 숙달시켜야 한다.
하루에 몇시간씩,몇 주, 몇 개월, 몇 년 동안 자신의 약점을 집중적으로 반복 연습해야 한다. 그릿은
현재에 안주하기를 거부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지금보다 나아질꺼야”
셋째는 목적, 넷째는 희망이다.
2부 “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151 좋아하는 일을 스스로 선택하게 해주는 부모를 둔 아이들이 관심사를 발견하고
열정으로 발전시켜 나갈 가능성이 높다.
p.168 “의식적인 연습” 그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전체 기술 중에 아주 일부분에 집중한다.
그들은 이미 잘하는 부분에 집중하기보다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p.170 처음에 설정했던 목표를 마침내 완벽히 달성할 때까지 ,이전에는 고전했던 부분을 나무랄 데 없이
능숙하게 해낼 때까지 신경 쓰였던 기술 부족이 무의식적인 자신감으로 바뀔 때까지 반복한다.
p.188 의식적인 연습을 100퍼센트 활용하는법
명료하게 진술된 도전적 목표
완벽한 집중과 노력
즉각적이고 유용한 피드백
반성과 개선을 동반한 반복
p.203 장기간 열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심도 매우 중요하지만 타인과 관계를 맺고 그들을 돕고 싶은 욕구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고 본다.
p.245 실수에 대해 ‘좋아,여기서 배울 점은 뭐지?’라는 태도를 갖기를 열망한다.
하지만 우리도 사람인지라 자주 좌절한다. 조급함을 내비치기도 한다.
p.249 좌절과 실패를 맛보더라도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말라는 교훈이었죠.그럴 때는 한 걸음 물러나서
원인을 분석하고 교훈을 얻어야 합니다.그리고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3부 “내면이 강한 아이”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p.274 “엄격한 사랑은 부모의 이기심이 없다는 전제가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네가 성공하는 모습만
보면 된다. 우리보다 네가 우선이다.'
p.305 특별활동은 젊은이들이 장기적 목표를 향한 열정과 끈기를 연습하고
발전시킬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릿이 높은 사람들만 특별활동에 끝까지 참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두가지 해석이 상호배타적이지는 않다. 특별활동이 그릿을 길러주는 요인인 동시에 그릿이
특별활동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p.314 노력과 보상의 연관성을 직접 경험하지 못하면 쥐든 인간이든 동물은
게으름을 부리게 된다고 주장한다.
p.317 자녀가 스스로 진로를 선택할 기회를 말살하지 않으면서 그릿을 기르도록 장려하고
싶다면 나는 바로 이 어려운 일에 도전하기 규칙을 권한다.
p.324 우리가 결정을 내릴 때 어떤 이득이 있고 어떤 비용을 치러야 할지, 그 이득과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지 고려한다는 의미다.
p.337 조지 버나드쇼의 행복에 관한 명언이다. "인생의 진정한 기쁨은 자신이 인정하는 위대한
목표를 위해 살아가는 데 있다. 우리는 이기적인 마음으로 세상이 자신을 행복하게 해주지
않는다고 잔뜩 열을 내며 한탄하는,질병과 원망이 가득한 사람이 아니라 자연의 힘이 되어야 한다.
p.359 그릿이란 한 번에 한 걸음씩 계속 나아가는 것이다. 흥미롭고 목적이 뚜렷한 목표를 굳건히
지키는 것이다. 매일,몇주씩 ,몇 해씩 도전적으로 연습하는 것이다.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 일어나는 것이다.
[느낀점]
그릿이란 열정을 계속 지속할 수 있게 하는 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속할 수 있는 힘에는 타고난 재능뿐만아니라 노력이 배로 더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이 어떤것인지 발전시키기위해서는 우리는
하루하루 꾸준히 노력 해야한다는걸 느꼈다.
열정의 의미도 또 새롭게 느낀 것 같다. 뭔가를 재밋게 하는걸
열정이라고 생각했는데 단순히 관심을 가지고 하는것이 아니라 꾸준하게 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열정을 가지고 꾸준히 하기위해서는 나를 더 발전시켜야한다.
좋아하는일에 관심을 가지고, 관심을 가지고 있는일을 어제보다 더 잘하기 위해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계속 생각하고 발전시키는게
내가 더 나은 사람이 되는 방향인 것 같다.
지금 투자활동을 좀 더 잘하기 위해서 "의식적인 연습이 필요하다"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세분화된 목록들을 만들고 반성과 개선을 통해 꾸준히 해야한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한번의 성공보다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 일어나는 용기가 필요한 것 같다.
[적용할 것]
나는 뭐든 할 수 있는 사람이다 라고 생각하기.
부정적 생각이 들 때마다 뒤로 한발짝 물러서서 생각하기.
댓글
끈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