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독서후기 #21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열중 45기 매일독서로 부자멘탈 탑재하고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할 23조 새로움s]

  • 25.07.02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2. 저자 및 출판사: 조지 S. 클래이슨/

3. 읽은 날짜: 7/2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 책에서 깨달은 것

 

마지막으로 읽을 책으로 고민하다가 바빌론 부자의 돈 버는 지혜로 정했다.

짧기도 했고, 부자의 그릇을 읽으니 이 책도 오랜만에 읽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했다. 

 

이 책도 소설로 되어 있다.

저자는 강대하고 부유했던 바빌론에 내려오는 지혜가 이런 것 아닐까? 라는 생각으로 소설을 썼고,

거기에 부자가 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사실 여기에 나오는 메시지는 매우 단순하다.

 

크게는 3가지 정도?

 

첫번째로 우리가 부자가 될 수 없었던 이유는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부자가 되겠다는 갈망을 타고난 것처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학교라는 교육 과정을 통해 학습한 많은 사람들, 그리고 가난한 부모 밑에서 학습한 사람들은

내 시간을 팔아 돈을 버는 구조에 익숙하며

겨우 먹고 살만한 돈으로 먹고 사는 것에만 집중하며 살아간다.

잉여물이 많이 남는 사람은 부자가 되지만 부자들은 사실 잉여물을 나누어 줄 생각이 없다.

 

그들의 시간을 레버리지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육 과정 속에서 우리는 성실한 일꾼이 되는 법을 배운다.

 

흙수저로 태어나 먹고 살만큼 벌어들이는 사람은 어떻게 이 구조를 빠져 나올 수 있을까?

 

바로 저축이다. 

 

책에서는 우화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는 3가지 단계를 이야기한다.

첫번째로 벌어들이는 작은 돈을 다 쓰지 않고 저축함으로 씨앗을 준비해야 한다.

종자돈.

돈을 벌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아주 작은 시작이 되어줄 돈이 필요하다.

마중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책을 읽을 때마다 놀라는 것은 그것이 10%면 된다는 부분이다.

대신 어떤 상황이라도 10%를 모아야 한다. 

그 돈이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에서 나오는 나에게 먼저 지출하는 것이다. 

나를 위해 먼저 떼어놓는 10%의 돈

그 돈이 어느 정도 모이면 그것을 가지고 돈이 돈을 벌어오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만 돈을 벌 수 없는 시기에 그 돈이 벌어오는 돈으로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전하게 투자하는 법을 알게 된 후에는 잘 불릴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작은 돈을 지킬 수 있어야 큰 돈도 지킬 수 있다. 

 

 

모든 일에는 치트키가 있다.

예전에 너바나님이 그런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다. 

부자가 되는 것에도 치트키가 있다.

5가지 원칙, 7가지 원칙 

여기에서 나오는 법칙, 원칙들은 같은 이야기를 한다.

부자가 되는 방법이 있다.

그 방법대로 하면 된다.

그들의 생각을 내 안에 넣을 때 그렇게 살아낼 수 있다. 

 

 

중요한 건 조급해하지 않는 것

복리의 마법을 믿고 즐겁고 끈기있게 계속 해나가는 것이다.

 

 

현명한 행동으로 평생 더 행복하게 사는 삶.

여유를 가지고 큰 그릇으로 사고하는 삶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모든 물질이 한계가 있다는 사고를 넘어서는 것 같다.

남의 것을 빼앗아 부유해지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가득한 것을 사용하는 것.

남의 것을 빼앗지 않아도 충분한 것. 

그렇게 풍요로운 것을 충분히 누리며 살기 위해

간단한 법칙을 따르며 사는 삶을 이야기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부자가 되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욕심을 내 보아야 겠다고 생각했다.

남의 것을 가져 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충분한 것 가운데서 나도 좋고 너도 좋은 것들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해야겠다.

자유인이 되어야 한다.

노예의 삶을 벗어나야 한다. 

다르게 생각하자.

부자처럼 생각하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댓글


새로움s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