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강파이어입니다.
2025년 상반기 서울 시장은
토허재 해제, 재지정으로 인한
상급지 위주 가격상승 현상이 있었고
6. 27. 대출규제가 나왔습니다.
서울 아파트 관련해서 많은 뉴스가 나오고 있는데
실제 매물의 변화가 얼마나 있는지
아실 사이트를 참고하여 작성해봤습니다.
(2025. 3. 1./ 2025. 7.4.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군
강남, 서초, 송파, 용산은 매매물량이 20% 이상 감소했습니다.
서초는 매매는 감소하고 전세는 증가했는데
메이플자이(3307세대, 2025년 6월) 입주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전세가 1354개 등록되어 있습니다.)
송파는 매매, 전세 모두 42%나 감소했습니다.
2군
서울, 경기 2군 지역에서도
양천구를 제외하고는 매매물건이 20% 이상 감소하였습니다.
뉴스에 성동, 마포 위주로 거래가 많다고 나왔는데
실제로 매물감소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는 성동, 양천, 광진 지역이 10% 이상 감소했습니다.
광진구 이스트폴롯데캐슬(1063세대, 2025.3월)
입주물량이 정리가 끝나가는 것 같습니다.
3군
3군은 동작, 영등포의 매매물량이 20% 이상 감소했고
강동, 종로, 중구는 10% 이상 감소했습니다.
강동구는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가 거의 마무리 되면서
전세 물량이 73%나 감소했습니다.
동작, 영등포도 전세 물량이 20% 정도 감소했습니다.
4군
4군으로 왔을 때 매매물량 증감이
1,2군과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서대문, 성북, 광명, 동안, 수지, 중원, 하남시는 10% 이상 감소했지만
강서, 동대문, 관악, 수정구는 10% 이내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은평, 구리는 오히려 1%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전세물량은
입주가 있는 서대문을 제외하고는(서대문 센트럴 아이파크, 2025.6월, 827세대/ 전세매물 153개)
모두 감소했습니다.
특히, 2024년 말, 2025년 초에 입주가 있었던
동대문, 성북, 관악 같은 경우는 20% 이상 감소했습니다.
5군
5군은 의왕시를 빼고는
매매물량이 비슷한 수준입니다.(많이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전세물량은
대부분 지역이 20% 이상 감소했습니다.
(전세가격이 상승할 수 있는 요인)
1~2군은 30% 정도, 3군은 20%, 4군은 10% 정도 평균적으로 감소했습니다
서울 매수심리는
강남, 강북 모두 매도세는 줄고, 매수세는 증가하고 있었지만
6.30 기준으로는 매도세 증가, 매수세 감소로 바뀌었습니다.
2024년 하반기에도 비슷한 흐름이 있었는데
다시 한번 좋은 기회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