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본
[PART1. 자동저축시스템 만들기]
p23
일단 이 1억을 한번 쪼개봐야겠다.
먼저 5년 안에 1억을 모으겠다는 구체적인 기한과 목표금액을 정했다. 5년으로 정한 덴 특별한 이유는 없다. 내가 직장 생활을 앞으로 최소 5년은 더 할것 같아서 그렇게 정했을 뿐이다.
p29
어떻게 하면 내가 최소 한달에 167만원 혹은 그 이상을 모을 수 있을까? 포트폴리오를 잘 정리해서 이직할 때 20% 연봉 인상을 노려볼까? 퇴근후 1시간을 투자해 부업으로 부수익을 내볼까?와 같은 해결방법을 찾으려는 사람에겐 길이 보인다.
성공하는 사람은 방법을 찾고, 실패하는 사람은 핑계를 찾는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p30
측정되지 않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본인 스스로가 최소 매달 얼마를 모아야 하는지조차 알지 못한다면, 앞으로 어떻게 더 큰돈을 관리하고 재무계획을 세울 수 있을까?
[PART2. 1억부터 모으세요에 숨겨진 함정]
p60
사실 난 '1억부터 모으세요'라는 말에 안도했다. 당장 투자 공부를 할 필요도 없고 실전에 뛰어들지 않아도 되니 말이다. 저축을 빙자한 5년이라는 계획은 재테크 공부를 안해도 되는 자기합리화의 시간이었는지도 모른다.
(...) 평소에 투자공부를 틈틈이 하며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 1억을 모은 후 투자하겠다는 자세와 막연히 재테크가 두렵고 낯설다는 이유로 미루면서 일단 1억부터 모으겠다는 자세는 천양지차이다.
투자는 두렵고 어려운 것이 아니다. 단지 익숙하지 않고 낯설어 막연한 두려움을 느낄 뿐이다.
[PART5. 당신의 몸값을 키워라]
p213
딱 만원부터 벌어보세요. 정말 많은 걸 배우실 수 있을 거에요.
세상엔 내가 직접 해보기 전까진 절대 알수 없는 것들이 있다. 새로운 도전으로 돈을 벌어보니, 내가 알고 있던 세계가 너무 작았음을 깨닫게 되었다.
[PART6. 당신의 이야기가 돈이되는 순간]
p235
처음부터 완벽한 사람은 없다
지금의 명성을 얻은 이들도 포기하지않고 시도를 계속 해왔기에 현재의 모습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니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야한다고 지레 겁을 먹지말자. 일단 시작한 후 끊임없이 배워나가며 성장하면 된다. 당신의 시행착오를 항상 응원하고 싶다.
▶깨
왜 돈독모 도서로 선정되었을까?
궁금해하면서 읽기 시작했는데
읽으면서 내가 처음 월부은을 읽었을때가 떠올랐다.
재테기의 강의를 책으로 요약하면 이런느낌일까? 싶은생각도 들었다
자본주의, 재테크를 1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왜해야하는지
어떻게해야하는지
친절하고 쉽게 알려주는 책!
어렵지않게 한걸음씩 걸어나갈수있도록 도움을 주고,
누구나 할수있다고 응원해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선정하지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의 나도 생각났는데..
2021년 12월, 월부은을 읽고
월부 카페에 가입하고
2022년 가장 먼저 뜨는 강의를 찾아서
수강한 내 자신을 정말 칭찬해주고싶다.
나의 경험을 바탕으로..
돈독모에 참여한 참석자분들에게도
누구나 할수있다는 마음이 들수있도록 준비해야겠다. !
그리고 또하나
이 책에 나와있는 내용들이
이제는 어렵지않게 이해가 되었고
이미 경험해본 것들도 있었다.
그런데
나는 왜 이런책을 쓰지못한거지?
왜 책을 쓸수있다는 생각조차 해보지못했을까?
사실 작가라는 게
너무나 대단해보이고..
아무나 할수없다는 생각이 컸었는데…
이번 6강에서 너나위님이 말씀주신것처럼
나도 충분히 할수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히려 누군가에게 알려준다는 마음으로
무언가를 해나가는게
나의 성장에 훨씬 더 큰 도움이 될것같다.
작가를 꿈꿔본적은 없었지만.
나의 성장을 위해서
그리고 나의 경험과 진심이
누군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정말 의미있지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앞으로 글을 많이 써봐야겠다.
▶적
❤️2025년 3분기 계획세우기(7.6.)
- 분기/월별/주간 목표는 측정가능한 지표를 설정 !
▶논의하고싶은점
p23
일단 이 1억을 한번 쪼개봐야겠다.
먼저 5년 안에 1억을 모으겠다는 구체적인 기한과 목표금액을 정했다. 5년으로 정한 덴 특별한 이유는 없다. 내가 직장 생활을 앞으로 최소 5년은 더 할것 같아서 그렇게 정했을 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