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준70기 5르는 내자산, 고쳐보자 내8자 랜덤] 제가 뭘 모르는지 몰라서 못 물어보겠어요

  • 25.07.07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1.  나에게 특히 인상깊었던 점

    - 먼저 월부를 시작하셨던 분들이 성동구를 예의주시하고 계셨나봐요 몰랐습니다

  2.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

    - 자금 조달계획에 차질이 생겨서 목표를 지방투자로 전환해야 하는데 실준반에서 임장 배워서 지방 임장보고서 만들어야겠습니다

     - 투자이후 시나리오를 매매 및 전세의 가격 움직임으로 정리해주셨는데 앞으로 제가 투자를 실행한 뒤 행동지침으로 적용해보고 싶습니다

 

1. 월부 투자자를 위한 부동산 대책 총정리

 

 1) 투자할 수 있는 사람(= 내가 할 수 있어야 하는 것들)

  - 높은 투자 이해도(내 본능 및 주변 사람들의 방식과 다른 방식이더라도)

    => 잃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설명할 수 있는가

    => 최고 수준의 투자를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는가

    => 나는 어떤 투자를 하는지 알고 설명할 수 있는가

  - 확고한 투자 기준/행동(단 한순간도 예외없이)

     => 어떤 것들에 투자할 지 아는가(투자 전)

     => 투자 과정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 지 아는가(투자 중)

     => 투자 이후 어떻게 대처할지 아는가(투자 후)

  - 종잣돈

     => 내가 하는 투자에 적합한 현금을 가지고 있는가  or 소득 40% 이상 저축이 가능한가

  - 안정적 환경(회사, 가정)

     => 향후 5년 이상 근로소득 발생시킬 수 있는가

     => 평일 하루 2시간/주말 10시간을 투입할 수 있는가

 

 2) 월부 투자자를 위한 6. 27. 부동산 대책 총정리

    - 매수 체크리스트 

     => 규제로 인한 급매(6개월 내 매도, 세만기 많이 남아 실수요 끊김 등)

     => 규제 이후 거래 절벽에 따른 실망 매물인가

     => 휴가철, 명절 비수기 물건인가

     => 타 단지 비교해보았을 때 확실히 싸고, 해당 단지 내에도 기존 실거래 대비 싼가

    - 임대 체크리스트(조건부 전세대출 관련)(가계약금 쏘기 전)

     => 만기 충분히 남은 세낀 물건인가

     => 매도인 전세계약 우선 체결 후 매매하는 방식 가능한가

     => 임차인 통해 전세대출 은행에 임대인 변경 여부 확인 기간 체크 했는가(ex. 6개월)

     => 전세 품귀, 매도해야 하는 매도인 상황이 겹칠수록 임대 유리 

  

2. 현재 부동산 시장 진단과 투자 시나리오

 

 1)  수도권 상황 파악 가이드

  - 기회 : 매도세>매수세/ 월 5천건 미만/ 매물 증가

 

 2) 6월 현재 투자 방향

 - 서울 : 24평 기준 7억 이상 60% 전세가율 가정 투자금 3억

 - 경기 : 24평 기준 6억 이상 70% 전세가율 가정 투자금 2억

 - 경기, 서울 : 18, 21평 기준 3~5억 70% 전세가율 가정 투자금 1~1.5억

 - 지방 : 34평 기준 4.5억 이상 70% 전세가율 가정 투자금 1.3억

             34평 기준 3.5억 이상 80% 전세가율 가정 투자금 0.7억

 

 3) 투자 이후 시나리오

  - 매매상승/전세상승 → 투자금 회수 → 1. 대출청산, 2. 재투자

  - 매매상승/전세하락 → 역전세 → 1. 매도, 2. 현금 대응

  - 매매하락/전세상승 → 투자금 회수 → 1. 재(추가)투자, 2. 대출 청산

  - 매매하락/전세하락 → 역전세 → 1. 현금대응, 2. 매도 

   

3. 저평가의 개념

 

   1) 절대적 저평가 : 시장이 모두 저평가된 상태

      => 길게 보면 올라간다는 것을 알고

      => 매수, 임대 과정을 숙지한 상태에서 

      => 절대적 저평가시기에 실행만 하면 된다

    (1) PIR(Price to Income Ratio

     => (서울) KB 월간 통계

          (서울 외) 서울과의 비교

     => 기준 : 11이하  

    (2) 전세가율 

     => (시구단위) KB월간 통계

          (물건단위) 네이버 부동산

       * KB부동산→ 메뉴→KB통계 → 월간시계열 → 11 PIR(월별)/28 아파트 매매전세비

     => 기준 : 전세가율 60% 이상 

 

   2) 상대적 저평가 : 특정 지역, 물건이 상대적으로 더 저평가된 상태

      => 비교 평가를 통해 가치와 가격의 불균형을 확인하고

      => 더 좋은데 싸거나, 더 좋은데 가격이 같거나, 투자금이 비슷한데 더 좋거나

     (1) 기초정보 비교

      => 동일평형, 비슷한 연식 등 다른 변수들을 최대한 동일하게 맞추고 비교

      => 평형, 매매가, 전세가, 평당 매매가, 전세가율, 매매-전세 비교

     (2) ‘가치=입지’ 비교

      => 직장, 교통, 환경, 학군

     (3) ‘입지대비 가격’ 비교

      => 입지순위, 매매가, 저평가, 매매-전세(투자금)  

 

4. 아파트로 돈 버는 법(종류와 정의)

 

     1) 1주택자

        => 절대적 저평가 시기만 잘 잡으면 된다

      (1) 1주택 올인 : 내집 하나(시거주 만족 + 노후 주택연금)

      (2) 일시적 1가구 2주택 : 내집마련 이후 추가 매수, 두 개를 합쳐 점프업(징검다리)

 

     2) 다주택자

         => 절대적 저평가 + 상대적 저평가  

      (1) 가치성장(입지)  : 투자금 규모보다 물건의 가치와 가격에 집중

         => 서울 임장 보고서 월 1회

         => 투자금액별 투자가능단지 리스트 업 & 실전투자

      (2) 소액(매-전) : 물건의 가치보다는 투자금 규모와 가격에 집중

         => 소액투자지역 및 서울 임장 후 보고서 월 1회(번갈아)

         => 소액투자 가능 단지 리스트 업 & 실전투자


댓글


제제23
25. 07. 07. 18:45

우앗 강의 정리 멋지십니다😆 강의 복습하는 기분~~~!! 강의 듣고 후기 쓰시느랴 고생많으셧습미다!!!

두드림도 타이밍
25. 07. 07. 18:49

강의 리뷰 확실하십니다~!! 멋져요~^^

인생집중
25. 07. 07. 22:24

와우~ 강의 복기가 저절로 되는 요약 ... 대단한 능력자셨네요. 오늘도 너무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