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요즘 아이 하나 키우는 것도 벅찬데,
둘 이상 키우는 가정이라면
정말 하루하루가 전쟁처럼 느껴지실 거예요.
그래서일까요?
정부에서도 육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지원책들을 조금씩 바꿔나가고 있습니다.
다자녀 가구의 기준이
‘세 자녀’에서 ‘두 자녀’로 확대됨에 따라
이제는 자녀가 두 명만 있어도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이 훨씬 많아졌거든요!
양육비, 주택, 교통, 교육, 세금, 문화생활까지
가정 경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들이 기다리고 있는데요.
오늘은 바뀐 기준과 놓치기 쉬운 핵심 혜택들을
한눈에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단, 일부 혜택은 여전히
세 자녀 이상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지자체별 조건과 차이을 꼭 확인해 보셔야 해요!
자녀 키우는 비용, 지자체가 함께 덜어드립니다.
[양육비 & 의료비 지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출산장려금 외에도
양육비와 의료비를 추가 지원하는
정책을 운영 중입니다.
[어린이집·유치원 우선 입소]
공공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입소 시
우선 모집 대상으로 분류됩니다.
대기 시간이 짧아지고,
원하는 시설에 입소할 확률도 높아지죠.
[아이돌봄 서비스]
만 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정은 정부가 운영하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특히 세 자녀 이상 가구는 우선 제공 대상이므로
서비스 배정도 빠르고, 요금 감면도 더 큽니다.
내 집 마련, 다자녀라면 조금 더 가까워집니다.
[청약 가점 혜택]
미성년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는
청약 신청 시 가점이 상승되어
경쟁률이 높은 지역에서도 당첨 확률이 높아집니다.
[공공임대 우선 공급]
국민임대주택, 장기전세주택 등 공공주택 공급 시
다자녀 가구는 우선 대상에 포함됩니다.
[주택자금 대출 금리 우대]
전세자금 대출 시 금리를 더 낮게 적용합니다.
디딤돌 대출, 주거안정 구입자금 대출 이용 시도
자녀 수에 따라 우대 금리가 적용돼요.
자녀가 많을수록, 학비는 줄어듭니다.
[다자녀 국가장학금]
자녀 수와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대학 등록금의 일부를 차등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이상 등록금 전액 면제]
세 자녀 이상 가구의 셋째 자녀부터는
대학 등록금이 전액 면제되는 혜택도 있어요.
(대상 학교 및 조건은 국가장학금 세부기준 참조)
[유치원 학비 지원]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이 세 자녀 이상일 경우,
지자체별로 월 5만~1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이 제공됩니다.
이동도, 생활비도 부담을 줄여주는 지원들입니다.
[KTX/SRT 요금 할인]
두 자녀 가구 : 성인 요금의 30% 할인
세 자녀 이상 가구 : 최대 50% 할인
고속철도 이용이 잦은 가정이라면
연간 교통비가 꽤 절감되겠죠?
[공영 주차장 할인]
다자녀 가구는 공영주차장 및 한강공원 주차장에서
주차 요금의 5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확대]
두 자녀 : 100만 원 보조
세 자녀 이상 : 200만 원 보조
정부 및 지자체가 함께 지원하는 만큼,
친환경차 구매 시 다자녀 혜택도 꼭 확인하세요.
[공공요금 감면 혜택]
세 자녀 이상 가구는
전기요금 : 월 최대 16,000원
도시가스요금 : 18,000원
난방비 : 4,000원
까지 감면됩니다.
연말정산에서 더 크게 돌려받는 혜택도 있습니다.
[세액 공제]
두 자녀
: 연간 55만 원 공제
세 자녀 이상
: 기본 55만 원 + 초과 자녀 수 × 40만 원 추가 공제
*자녀가 4명이라면 총 135만 원 공제가 가능!
[출산 크레딧]
둘째 자녀 이상 출산 시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12개월 추가 인정해 주는 혜택도 있어
향후 연금 수령액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놀이공원부터 공항까지,
다자녀 가정이라면 할인 또는 우대됩니다.
[다자녀 카드]
국립 수목원, 자연휴양림 무료입장
박물관, 미술관 할인
문화센터 강좌료 30~50% 감면
공항 패스트트랙 이용 가능
→ ‘다둥이 행복카드’ 등
지역별 다자녀 전용 카드가 필수입니다.
단, 지자체나 시설별
시행 여부와 할인 조건이 상이하므로
꼭 시설 홈페이지나 전화로 먼저 문의하세요!
다자녀 관련 혜택은 아래 채널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오프라인 신청]
주민센터 방문 접수
*지자체별로 지원 내용이 상이할 수 있으니,
신청 전 자녀 수 기준, 자녀 연령 제한, 지역 조건을
꼭 미리 확인하신 뒤 진행하세요.
지금까지 두 자녀만 있어도 받을 수 있는
다자녀 혜택을 쭉 살펴봤습니다.
정책 하나하나가 가정 경제에
큰 도움이 되는 실속형 혜택들이었죠.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최근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면서
육아·출산 정책이 또 한 번 확 바뀌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세제 혜택은 물론,
현금성 지원과 생활 밀착형 제도들까지
무려 10가지가 새롭게 달라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혜택들을 다 합치면
가구당 약 4천만 원 상당의 혜택을
받는 셈이라고 해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2025년, 업그레이드된
육아·출산 혜택 10가지 총정리!
아이 키우는 가정이라면 놓쳐서는 안 되는 정보,
아래에서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링크 눌러서 확인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