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요즘 매일매일 내집마련 강의를 듣고 있는 새내기입니다!
강의 도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내집마련 기초반 필수과제에 내집마련 보고서 만들기 필수 표가 있는데 매매가/전세가에 대한 정보를 넣어야 합니다만 여기서 매매가에 대한 평수가 59제곱미터라면 전세가에 대한 평수도 동일한 59제곱미터에 대한 값을 넣어야 할까요?
가끔 매매와 같은 평수의 전세가 보이지 않아서요,,이럴경우엔 어떻게 해야하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사랑스러운빛님 안녕하세요. 내집마련기초반을 수강중이시군요! 시세를 딸때는 동일 평형에 대해서 따시면 됩니다. 간혹 매물이 없어서 해당 되는 평형에 호가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때는 최근 실거래가를 확인하거나 부동산에 전화해서 얼마정도가 시세인지 물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모르시는 것을 넘어가지 않고 물어보시는 모습이 멋지시네요. 과제 마무리 화이팅입니다!
사랑스러운 빛님 안녕하세요 :) 저도 골드트윈님 처럼 시세 딸 때 전세 호가가 없는 경우라면 실거래가를 통해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호가가 없다고 따로 표시하는데, 따로 표시하는 이유는(색칠을 하거나) 그만큼 전세 개수가 적다는 의미라 전세를 맞추는데 있어 전세의 분위기를 가늠하기 위함입니다. 빛님 응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사랑스러운빛님~ 전세가가 없는 경우는 호가가 없는 경우입니다 위에 말씀해주신 것처럼 해당 평형대에 호가가 없는 경우 최근 실거래를 참고하시면 되는데요 전세가 많이 없는 지역의 경우 전세 호가를 가늠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전화를 해보면서 감안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같은 59평형의 다른 타입이 있다면 예를들어 A타입은 전세호가가 없지만 B타입에는 있는 경우 평형이 같다면 B타입의 호가를 적고 감안해볼 수 있습니다 (단지에 따라 타입 별 전세 시세가 다를 수는 있습니다) 강의에서 알려주신 것을 실천하는 모습 정말 멋지세요:)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