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월부는 업로드된 날 수강하면 영상 끊김과 재생률 트래킹에 오류가 잦다.. 암튼 난 완강. 3번 듣지 뭐 😂
드디어 지투기! 4월부터 쭈욱- 탐내왔던 지투기.
시간이 지나 4월 지투보다 더 마음에 드는 지역이라 오히려 좋음! (물론 4월에 들었어도 7월에도 들었겠지만 ㅎㅎ)
오래 기다려온 만큼 기대도 컸지만 기대만큼이나 좋았던 유디님 강의.
특히 5강은 필사해두어야겠다는 생각이 절실했다.
1-1) 지방 주요 선호 요소
1-2) 지방 입지 분석
1강 & 2강은 지방 투자에서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짚어주셨다.
실준 & 열중 때도 배우긴 했지만,
당장 지방 임장지의 임보를 써야하는 입장을 고려해주신건지 훨씬 디테일하게 되짚어볼 수 있었다.
특히 수도권에서 중요한 위치와 교통이 지방에서는 어떻게 다른지,
지방에서는 어떤 요소들이 수요를 잡아주는지 등을 더 상세하게 다뤘다.
각 요소별 정량 평가보다 내 눈과 내 발로 느낀 정성 평가가 더욱 중요할 지방.
결국 부동산도 사람이 사고, 사람이 사는 상품.
내 눈에 좋은 게 남들 눈에도 좋을 것.
당장 내 투자금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기회의 땅]을 미리미리 살펴보기!
1-3) 부산 지역 구별 특징
본격적으로 부산을 파고드는 파트.
지방광역시 중에서도 부산만의 특징을 <위치 특징, 행정구역, 인구, 생활권, 소득> 파트로 자세히 살펴봤다.
부산의 지역 명칭은 ‘산이 많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부산토박이라 아는 소박한 지식 ㅋㅋ)
그로 인해 갖는 부산 전반을 아우르는 부산만의 특징과 아파트를 바라볼 1차적 시선이 잡혔다.
도시의 형성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권역이 구분되었고, 이 권역은 생활권으로 다시 나뉜다.
동부산권 - 동래/중심권 - 서부산권 - 원도심권
각 생활권별로 지역 특징과 대표 단지들을 간략히 짚어주셔서 큰 그림을 그려보는데 굉장히 도움이 됐다!
특히 전통적인 부촌들 이야기와 과거 대장 단지의 현재 위상, 변화들을 어렴풋이나마 알게 되어 넘 재밌게 들었다.
1-4) 부산 입지 분석 한판 정리
인구/ 직장/ 학군/ 환경/ 공급/ 교통
강의 듣기 전, 미리 분석해봤던 유일한 파트가 인구였는데 뭔가 어제 푼 문제의 해설 답안을 보는 기분ㅋㅋ
너무 세세하게 파고들지 말자! 큰 흐름을 그려보고, 발품으로 그게 맞는지 확인해보는 게 훨 빠르다.
직장 정보 넘 꿀..
유디님이 친절하게 링크까지 알려주셔서 요건 빠르게 레버리지하고 넘어가야겠다.
학군 분석도 허니 폭발..
어렴풋이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명확하게 가르마 타주신 덕분에
추후 해당 지역들을 임장할 때 어떤 부분을 더 세밀하게 봐야할지 배웠다.
환경 중 가장 귀가 쫑긋해진 건 역시나 유디님의 과거 경험 ㅎㅎ
꼭 기억해두고, 눈에 불을 키고 그런 단지 없나 살펴봐야지 ㅋㅋㅋ 임장 가기도 전부터 리스트업할 욕심부터 듬ㅋㅋ
공급 .. 오오ㅏ
공급은 이렇게 분석하는 거구나.
제대로 소화하기 위해 좀 더 복습할 필요가 있다 (메모메모)
교통은 예상과 비슷했다!
그래도 등급(?)을 매기기 애매했는데, 깔끔하게 정리되어 좋음~
1-5) 부산 시세 분석, 투자 전략
100% 필사하고, 200% 흡수할 파트였다.!
지역별 신축/구축 흐름은 여전히 아리송한 부분이 많지만,
앞으로 지방 투자에 꼭 알아둬야할 벤치마킹 포인트들이 많다 못해 넘쳐흘렀던 파트.
예전에는 비교 분석만 나오면 동태눈이었던 것 같은데, 요즘엔 꽤 재밌다.
과연 단임 후에도 같은 말을 하고 있을 것인지! ㅋㅋ
***
험난하고도 험난할 여름 지방 임장일테지만, 그래도 첫 강의부터 임장지 분석을 세세하게 알고 가서 마음이 든든하다.
아직 지역 개요랑 입지 분석할 게 많이 남았지만 (유디님 강의 레버리지할거고 ㅋㅋ)
분임루트도 짜야하고 조모임도 해야하지만..
그래도 완강에 후기까지 완료했으니 하루하루 하나씩 뽀개나가야지!
고생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