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 지방 투자란??
-수요가 있는 지역, 단지에 투자하기 : 인구수, 지역 내 선호도 구성 요소 확인, 입지 또는 연식
-지방 투자 기준
인구수 : 매매, 전세의 수요가 많고 공급 물량 잘 소화
입지 : 신축 아파트, 신도시 선호(땅의 힘이 크지 않다)
일부 구에 한하여 학군을 선호해 땅의 가치가 있음
상품성 : 연식, 브랜드, 택지 규모에 큰 영향
직장 : 인구 수를 정착 시킬 수 있는 기준
학군 : 95% 이상 성취도율을 보이는 중학교, 학군 중요 지역은 반드시 고려
해당 지역 내에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학군의 특성과 경쟁력을 평가 해야 함
환경 : 백화점 개수와 매출은 소비력을 의미함, 거주 만족도 높아짐
신축 아파트 많은 택지, 신도시일 수록 거주 환경과 만족도 높음
공급 : 인구가 많은 지역 한에서 공급물량 감소 → 전세물량 감소 → 전세가 상승 → 매매가 상승
교통 : 거주지 판단 시 업무 지구 접근성 비중 적다
- 지방 투자 입지 우선순위
수도권 : 직장, 교통 > 학군 환경 ( 지역에 따라 학군의 비중이 큰 지역 있음)
지방 : 학군, 환경 > 직장, 교통 ( 학군이나 환경을 이유로 거주지를 선택하는 경우 커뮤니티가 형성됨 )
- 잊지 말아야 할 것 : 입지 > 가격 ( 입지 보다 가격이 싼 경우에만 투자한다 → 적은 투자금)
수도권의 투자가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지방 소액 투자의 좋은 기회를 맞이했다 하시니 할 수 있다 도전해 보고 싶다는 의욕과 열정으로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물론 임장과 임장 보고서의 작성이 습관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엄습해오지만 하루하루 꾸준히 해나가다 보면 앞마당이 하나둘씩 만들어져 투자의 확신이 설 수 있다는 믿음을 갖는 게 지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다
** 부산 투자란??
- 부산은 수도권과 비슷
- 지역적 특성이 있기에 주거 이동이나 분산이 어렵고 환경이나 입지, 연식을 종합적으로 판단
- 인구가 유출되고 있고 소득 수준이 낮은 편이기에 투자 범위를 좁혀야 함
- 땅의 가치는 거주 선호에 의해 결정 ( 직장, 학군, 신도시 등)
- 내 투자금에 맞는 아파트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미리 임장과 임장 보고서를 준비하여야 적절한 시기에 투 자 가능
수도권 투자와 다르게 더 유연한 사고와 눈과 발로 최선의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성장해 나가야 겠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불과 6개월 전 만해도 지나간 기회들을 아쉬움과 후회로 가득했지만 월부를 만나고 난 후 조금씩 발전 가능 한 나의 미래가 그려진다. 지방 투자가 현 상황에 나에겐 최고의 기회이다. 어느 지역이든 눈과 발로 앞만 보며 열심히 걸어 다녀 내 앞마당을 넓혀 보리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