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헉. 이게 무슨 말인가?
지방에서 선호도가 떨어지는 곳은 영원히 오르지 않을 수 있다니…
처음부터 엄청 무시무시한 말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월부에서 꾸준히 공부하는 사람이 그런 곳을 선택할까?
두려움이 앞서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그런 곳을 피해 그 지역 사람들이 좋아하는 선호도 높은 단지를 고르면 된다.
지투기를 통해 투자기준과 투자방법을 배우고 투자를 진행하면 된다.
지방은 현재 대부분 싸다.
투자기준에 들어오는 것 중 가장 좋은 단지를 하면 된다.
인구수가 많은 지역에 건물가치가 좋고 선호하는 동네, 선호 단지를 찾아낼 수 있는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면 된다.
그 중 가장 유의해서 봐야 하는 부분은 공급물량이다.
지방은 공급 물량이 전세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고
전세가격은 매매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공급은 투자자로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 판단하는 근거가 되어 세입자 재계약과 관련된 판단 기준을 세우고 매도나 보유에 대한 판단도 가능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둘째로 부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산을 이해하고 부산을 투자하기 위한 방법을 통해 다른 지방 투자의 접근법을 배울 수 있었다.
부산을 크게 4권역으로 나누고 투자하기 좋은 져평가 되어있는 권역을 정하고
구별 특징을 파악하여 투자로 이어지기 좋은 구들을 선택한다
그 후 각 구의 직장 교통 환경 학군 공급을 확인하여 입지 순위를 정하고
시세를 분석하여 투자 기회가 있는 곳, 곧 소액으로 투자 기회를 줄 만한 곳들을 미리 파악한다.
그 후 트래킹을 하며 전세금의 변동이 일어나는 곳이 있으면 바로 KTX를 타고 내려가 계약을 하면 된다.
지금의 나는 고단한 시기를 걷고 있다.
멘탈을 잘 붙잡고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적절한 기회가 있는 곳을 포착하여 결단해야 한다.
일단 이번달은 임장보고서를 제대로 완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세를 작성할 때 그룹핑을 잘해서 가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비교평가 해봐야겠다.
그리고 트래킹을 위한 시트도 제대로 만들어봐야겠다.
이번달이 정말 의미있는 한달로 만들어야겠다.
나무와 화이팅~!
댓글
나무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