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10(목)] 기사 정리
- 😜 헤드라인별 기사 요약 및 생각 정리
- 트럼프, 필리핀 등 6개국에 관세 20~40% 서한 발송
- 현재 미국은 계속해서 각 국가별로 관세 서한을 보내고 있음. 몇몇 국가는 4월2일 상호관세 부과된 것보다 높은 관세율을 받는 반면 몇몇 국가는 낮은 관세를 받았음. 중요한 것은 서한을 받고 각 국가들이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 사상 첫 4조달러 엔비디아…2023년 이후 1000% 상승
- 최근 AI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성장을 하면서 주가가 상승 중이다. 엔비디아가 대표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던 와중 시총 4조를 달성하였음. 주가 상승분이 엔비디아의 이익이 늘어난 점도 있지만 AI 반도체주 기업들의 성장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오른 것 또한 있음. 즉 1개 기업들이 예상보다 낮은 실적을 보이면 그만큼 시장 변동성도 큰 것을 인지한 상태로 투자를 해야 한다.
- "테슬라 이사회, 머스크 정치활동 통제해야" 조언에 머스크 "닥쳐"
- 현재 테슬라의 가장 이슈는 CEO인 일론 머스크다. 트럼프에 대항하는 신당을 개설하는 등 트럼프와 계속 언쟁이 있기 때문이다. 해당 관련하여 이사회에서 정치활동 관련 조언을 머스크에게 했던 존은 욕을 먹었다. 이외에도 월가 등 전문가들은 일론 머스크에게 비판을 하고 있다. 사업가 일론 머스크가 과연 아무것도 생각안하고 이러는 걸까? 무엇을 원하는 걸까?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테슬라 주가가 비싼 이유는 뭘까? 참 많은 의문점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다.
- "구리 50%관세"…미국내 반도체·자동차 공장 최대 피해
- 최종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 관해 언급하였음. (물론 바뀔 수도 있지만) 구리 관세 부과일은 8월 1일이다. 구리 관세가 부과되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구리가 들어가는 제품에 대한 가격 인상도 매우 큰 타격이다. 이는 중국 일본 한국 모두가 타격이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도 협상을 유리한 이점으로 끌기 위한 조치인가?를 지켜봐야할 것 같다.
- 생각 : 미국도 구리 원자재를 수입을 많이 한다. (45% 정도를 수입함) 즉 미국도 타격은 안 입는 건 아니다. 오랫동안 유지하면 미국 또한 문제가 있기에 협상을 빨리 이끌고 싶어하는 느낌이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