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무한한 에너지, 긍정의 힘을 가진 자
무긍자입니다.
월부에서 서울,수도권 앞마당 위주로 강의 듣고 앞마당을 만들어서
지방투자기초반은 처음 들었습니다.
서울,수도권과 달리 지방투자시 어떤 기준으로 바라보고 판단해야 하는지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는데 권유디님이 강의 초반에
"지방 투자 기준"과 "가치 판단 기준'을 잡아주셨습니다.
아직 지방투자 기준점은 초보이지만 하나씩 배워
지방투자의 매력에 빠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배운 내용과 적용할 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지방 투자 기준
1. 인구수
수요가 많은 지역
인구수는 곧 수요다. 인구수에 따라 투자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합니다.
(단, 가치대비 비싸다면 투자 하면 안 됩니다.)
2. 입지
건물 가치가 큰 단지
일부 광역시를 제외하고 지방은 빈 땅이 많기 때문에 '땅의 가치' 떨어집니다.
(지방은 땅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축을 따라 거주지를 선택합니다. 이것을 알고 투자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고
또한 땅의 가치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구축임에도 불구하고 선호도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3.상품성
상품성 = 연식, 브랜드, 택지규모
각 지방별로 선호하는 요소가 있습니다.
지역별 선호하는 동네, 선호하는 단지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지역별 특성을 판단하고
그 특성 관점으로 아파트 가치를 판단해야 합니다.
📌지방 투자 입지평가 기준
직장, 교통, 학군, 환경, 공급
지방의 입지 평가 우선순위는
학군, 환경 > 직장 교통
여기서, 지방은 빈 땅이 많기 때문에
특히 공급을 유심 있게 봐야 합니다.
📌부산 입지 분석
권유디 튜터님이 부산 구별로 입지분석을 설명해주시면서
구별 선호 요인을 나눠 주셔서 그 특징을 알수 있었습니다.
강의 듣기로 너무 아쉬울 정도로 바로 임장을 나가고 싶을 정도로 생생했습니다.
추후 부산 임장시, 강의 자료 복습 후 나가면 눈에 더 잘 들어올 거 같습니다.
튜터님이 마지막에는 "부산 입지분석 결과를 투자와 연결하기" 강의 하실 때
저에겐 임팩트가 세게 왔습니다.
그 지역의 입지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을 투자로 연결시 어떻게 해석하고 판단할지 알 수 있었습니다.
튜터님의 방식으로 입지를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지투기 강의 처음 들어 지방을 어떻게 바라보고 시작해야할지 막막하고 두려웠는데,
이번 권유디 튜터님의 강의로 지방투자에 한걸음 내딛을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직 어렵지만 시작해보고 지방 앞마당도 만들어 투자로 연결 짓도록 하겠습니다.
아자!! 아자!! 화이팅
경제적 자유 달성을 위하여
GO!! GO!! GO!!
댓글
무긍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