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몽그릿] 독서후기 - 루틴의 힘

  • 11시간 전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루틴의힘1 + 댄 애리얼리 외 16명

저자 및 출판사 : 부키

읽은 날짜 : 25.07.05 ~ 25.07.1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루틴 #자제력 #성공방법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9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작심삼일의 덫에서 벗어나 성공하고 싶다면?

하기 싫을 때도 시작하고 끝까지 해내게 만드는 ‘루틴’을 가져라!

 

아주 작은 습관도 가져 봤고, 신경도 꺼 봤고, 단순하게도 해 봤고, 1만 시간 동안 했고, 이기적으로도 살아 봤다. 뇌 과학, 심리학, 철학, 명상에도 기대 봤다. 하지만 원하는 성과를 얻지 못했다면? 일상과 업무와 학업은 달라진 게 없고, 운동과 다이어트와 금연은 금방 포기하고 말았다면? 당신에게 필요한 건 굳은 결심과 노력이 아니다. 바로 루틴이다.

 

루틴은 평정심을 유지하고 최상의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 습관적으로 하는 일련의 행동이나 절차를 말한다. 무라카미 하루키와 스티븐 킹, 김연아와 류현진, 워런 버핏과 오프라 윈프리의 성공 비결 중 하나는 자신만의 루틴을 가졌다는 것이다. 루틴은 우리로 하여금 하기 싫을 때에도 시작하고, 언제든 창의력 스위치를 켜며, SNS와 딴짓의 유혹을 이겨 내고, 결국에는 끝까지 해내게 만든다.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의 크리에이티브 프로젝트인 ‘99U’는 댄 애리얼리, 세스 고딘, 그레첸 루빈, 칼 뉴포트, 어도비 커뮤니티 부문 부사장 스콧 벨스키 등 세계적인 아웃라이어 20인의 성공 습관과 루틴 철학을 한데 모았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루틴의 힘』은 독자들에게 최고의 변화를 선사하는 기분 좋은 반복의 힘을 확인시켜 줄 것이다.

 

 

 

2. 내용 및 줄거리

:

1장 인생의 뿌리를 탄탄하게 만드는 루틴의 힘

1)좋아하는 일일수록 자주 실천하라 _그레첸 루빈

2)남이 아니라 나를 위해 먼저 일하라 _마크 맥기니스

3)(Q&A) 지금, 여기, 내가 일하는 이유 _세스 고딘

4)당신의 일상에도 ‘새로고침’이 필요하다 _토니 슈워츠

5)고독할 권리를 놓치지 마라 _리오 바바우타

 

2장 정말 중요한 일에 집중하게 해 주는 루틴의 힘

1)창의적인 스케줄에서 성과가 시작된다 _칼 뉴포트

2)멀티태스킹의 거짓말에 속지 마라 _크리스천 재럿

3)(Q&A) 산만함의 강박으로부터 벗어나는 길 _댄 애리얼리

4)자제력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_에린 루니 돌랜드

5)차단과 집중으로 잠재력을 깨우는 비결 _스콧 벨스키

 

3장 창의력의 날을 날카롭게 세우는 루틴의 힘

1)자신을 위한 창조에 매달려라 _토드 헨리

2)어떻게 통찰력에 불을 붙일 것인가 _스콧 맥도웰

3)(Q&A) 창작의 리듬을 유지하는 법 _스테판 사그마이스터

4)완벽의 강요에서 벗어나라 _엘리자베스 그레이스 손더스

5)슬럼프를 지혜롭게 건넌 사람들 _마크 맥기니스

 

4장 기술과 도구를 최적화하는 루틴의 힘

1)하루의 28%를 더 현명하게 쓰는 법 _에런 디그넌

2)당신의 SNS에는 ‘의미’가 있는가 _로리 데쉔느

3)(Q&A) 나는 왜 디지털 안식일을 지키는가 _티퍼니 쉴레인

4)스크린 무호흡증에서 탈출하라 _린다 스톤

5)‘나’답게 살려면 우선 ‘나’를 믿어라 _제임스 빅토르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ebook기준

:

 

1)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자신이 '어떻게'살고 일하고 있는지 재고해 보라 p.20

 

2) 빈도를 높여 자주 실천하는 습관은 비록 따분해 보일지 언정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여준다. p24

 

3) 업무 습관을 '창의적 업무 먼저. 대응적 업무는 나중에'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p33

 

4) 결국 그렇게 한계점까지 자신을 밀어붙이면 대가를 치러야 한다. p50

 

5) 명상을 일상의 루틴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좋은 시간대는 아침에 눈을 뜬 직후이다. p58

 

6) 실제 이루어지는 현상은 멀티태스킹이 아니라 서로 다른 요구 사항을 놓고 마음이 이리저리 움직이는

'작업 전환'의 과정일 뿐이다. p75

 

7) 가능하다면 다른 작업으로 넘어가기 전에 찝찝한 마음을 떨쳐 버리고 기꺼이 손을 놓을 수 있는 중단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 가장 좋다. p79

 

8) 밝혀진 바로는 이 죄책감이 효과는 있지만 지속 시간은 짧다고 합니다. p87

 

9) 자제력이란 유전되거나 고정된 형질이 아니라 연습을 통해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임을 발견했다. p94

 

10) 완벽하지 않은 것은 무엇이라도 절대로 용납하지 않으려는 태도 p140

 

11) 일단 문제를 정확히 간파하기만 하면 해결책은 놀라울 정도로 간단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p151

 

12) 그러나 중요한 일보다 긴급한 일을 우선시하면 결국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우선시하는 일을 고르게

되고 만다. p199

 

13) 노력하는 과정 자체가 곧 목적이다. 노력이 사람을 만들고,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만들어 준다. p200

 

14) 단계가 올라갈수록 더 어려워지고, 문턱을 넘을 때마다 더 많은 것을 내어 줘야 하기 때문이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2) 책에 제목처럼 '루틴'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월부를 하면서 새로운 습관을 만들기 위해서

'루틴'처럼 활동을 했다. 뭔가 거창하게 완벽하게 하는 것 보다 빈도를 높이는게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렇게 빈도를 높여 자주 실천을 하게 되면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여준다. 지금 하는 전수조사 조차도 처음에는

3시간 걸리던 작업이 현재는 30분에서 40분정도로 줄어들었으니 익숙해지면서 생산성이 올라가는것 같다.

그리고 계속해서 보다보니 지역에 대한 이해도와 사람들이 이런걸 좋아해서 앞으로 어떤것을 봐야 하는지에 대한

창의성도 올라가는 것 같다. 그리고 자주하면 시작이 수월해지고, 부담이 줄어들고, 습관이 붙기에

처음에 뭔가 시도를 할 때는 거창한것 보단 일단 시작을해서 '빈도'를 올리는게 중요한 것 같다.

 

 

4) 처음 한계점에서 계속 몰아붙이다가 부러질뻔한 경험이 있었고, 그 경험을 통해서 내가 얼마만큼 할 수 있는 사람

인줄알게 되었다. 책에서는 루틴에는 회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회복이라는 것이 꼭 쉬어야하고 잠을 많이

자야 하는것이 아니라 내가 어떤 것을 했을때 기분이 좋아지거나 다시 0으로 만드는지 아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함

그래서 어떤 것을 끝내고 (임장, 임보 등등) 보상을 주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다시한번 느낀다.

 

7) 멀티태스킹 즉 작업전환이 이루어 질때 많은 에너지와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항상 하던것을

마무리 할 수 없는 것 같다. 내가 어떤 일을할 때 중단지점이 어떤 부분으로 지정했을 때 생산성 저하와

다시 시작할 때 에너지 소비가 없는지를 고민해봐야겠다. 그리고 나중에 질문기회가 생겼을 때

중단지점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꼭 확인해봐야겠다.

 

9) 자제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라고 한다. 습관을 통해 힘을 들이지 않고 해내고

그 아낀 에너지들을 다른 자제력이 필요한곳에 쓴다. 그래서 처음에 자제력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빈도를 높여 습관을 만들고 적은 에너지를 만들면서 케파를 계속해서 늘리는게 중요하다 생각함

 

 

 

5.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루틴의 힘2 -> 이어지는 책 내용

 

 




댓글


몽그릿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