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25기 갱갱갱 뱅뱅뱅 지지지 3곡만 듣지조 길한엽] 지투실전반 2강 프메퍼 튜터님 강의후기

  • 25.07.15

안녕하세요?

노후를 위해

분주히 헤엄치는 

길한엽입니다.

 

프메퍼 튜터님께서 이번 2강에서

어떻게 임장하고, 어떻게 임보를 쓰는지 에대해

모든것을 정석으로 제대로 쏟아내 주셨는데요.

 

스스로 투자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스스로의 통찰력을 키우게 만드는 

그 사고 과정을 엿볼 수 있어서 정말 깊게 와닿는 강의였습니다. 

 

제 임장과 임보에 적용하고 싶은 포인트가 정말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딱 세 가지를 적용해 보았는데요. 

많은 시도와 분석이 있어야 한다고 하셔서~~~ 

 

실제로 행동으로 적용해 보았습니다.

 

첫번째 적용점은. 

 랜드마크 단지의 흐름과 공급을 통해 시장의 모습과 투자할 단지를 찾기위한 장표 였습니다. 

 

실제로 지금 현재 임장지의 대장아파트의 가겨흐름과 기사를 맞춰보는 작업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이 장표를 만들면서 의문이 들었던 점은

 

시기마다 시장을 바라보는 기사가 천차만별이었던 것입니다.

 

예를 들어 14~17년 가격이 오르고 있는 그래프를 형성하고 있는데,

기사는 오르고있다는 기사와,, 떨어지고 있다는 기사가 혼재하는 양상을 보였는데요. 

기사야 그때 그 시장을 전망하거나 진단하는데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에,,

그 시장의 분위기에 맞춰 흐름을 가늠해볼 수 있는 기사를 찾는데에 굉장히 어려웠습니다.

 

제 임장지의 가격흐름과 시장의 분위기가 머릿속에 입혀지지 않아서 

해당하는 기사를 찾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 장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앞마당으로 만들고 있는 지역의 과거 시장흐름을 대략 머릿속에 그려놓아야 이 장표를 무난하게 만들 수 있겠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두번째 적용점은. 

지역내 비교평가에서 가치와 가격을 비교평가 부분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가치를 먼저 파악하고 가격을 확인하는 중요 포인트를 익히고자 적용했는데요. 

 

적용하면서 가장 고민스러웠던 점은

  1. 단지별로 지역선호도와 환경부분에 가중치를 어느정도 주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많이 되었었고요,
  2. 연식과 환경을 비슷하게 고정하고 지역선호도를 적용하고자 했는데요. 강의에서 말씀해주신대로 가치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가격이 저평가 된 단지를 찾는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현재 시장에서 선도지구나 다른 재개발 이슈로 인해 가격을 치고 올라가버리는 경우도 생기고,,, 암튼 참,,, 여러가지 상황을 복합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점이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었습니다.

 3. 세 번째는 단지가 많지만 생활권별로 가격과 환경이 굉장히 차이가 큰 경우에 비교할 단지를 찾기가 상당히 까다롭다는 점입니다. 지금 임장지는 생활권별로 수준차이가 꽤 크게 벌어지는 지역으로 비슷한 지역선호도끼리 비교하는 단지를 찾기 힘들면 다른 연식이나 환경부분에서 서로 가중치를 높거나 낮게 주어 조건을 비슷하게 만들어야 한텐데,, 1번의 고민처럼 가중치를 어느정도 주어야 하나? 에서 또 다시 고민에 빠지게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작업을 해봄으로써..

튜터님께서 강의 초반에 강조하셨던.

스스로 판단하는 투자자가 되기위해

많은 시도를 하는 작업라는 점이

굉장히 의미있었습니다.

 

실력을 쌓고 무엇이 핵심인지 아는 투자자가 되기위해서..

 

위의 사고 과정을 임장보고서마다 적용해보아야겠습니다.

 

긴 시간동안 굉장히 방대한 분량을 강의해주신 

프메퍼 튜터님과 가족모두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댓글


프메퍼user-level-chip
25. 07. 16. 16:42

길한엽님!!!!!!!!!!!!!!!!!! 최고의 후기입니다 너무 멋지네요 ㅎㅎ 바로 이렇게 임보에 적용하시다니 제가 다 감동입니다 :) 너무 너무 잘하고 계십니다!! 말씀한 지역이 대충은 어딘지 보이는데요 ㅎㅎ 1. 지역 선호도와 환경 부분 가중치는 튜터님과 같이 얘기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특히 인구규모가 큰 곳일 수록 두가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가중치를 더 줘도 될 것 같아요! 2. 가치에서 큰 차이가 안난다면, 물건vs물건으로 들어가셔야 합니다 마지막 투자그룹핑처럼 결국 현장에서 가격 차이로 인해 투자 우선순위가 갈리는 부분이 있어요!! 그래서 현장에 더 집중해보시길 추천드려요 3. 생활권별로 차이가 크더라도 그 차이를 지금처럼 가늠해서 적용해보시고, 생활권 순위와 생활권 내 단지 순위를 같이 적용해보세요! 그것을 적용하고도 비슷하다면 가치 - 가격 - 투자금(앞단이 비슷하다면 아마 보통 여기서 갈릴거예요) - 리스크 순서로 우선순위를 메겨보시면 됩니다! 화이팅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