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실준반 2강은 1강보다도 내용이 정말 많이 바뀌어 있어 완전 새로운 강의를 듣는 느낌이었습니다!
제가 지난번 들었던 실준반 강의보다 훨씬 더 디테일하게 임장보고서 설명해주시는 것과
직접 하나하나 하는 방법을 보여주면서 알려 주셔서 너무 유익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임장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어떤 흐름으로 생각을 해야하는지 사고방식도 알려주시는 것도 정말 좋았습니다.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반성도 많이 하게 되었는데요.
내가 임장보고서를 생각없이 기계처럼 쓰고 있었던 사람 중 하나였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나를 쓰더라도 정확히 왜 작성하는지를 똑바로 알고 투자에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나에게 특히 인상 깊었던 점
- 잘하는 방향이 아니라 더 오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생각해야 한다.
- 1 순위 집착하지 말고 2, 3, 4 순위로 내려가서라도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2 순위가 결과적으로 2순위가 아닐 수 있다. 4순위로 봤던 물건이 결과적으로 2등이 될 수도 있는 것임. 뭐가 더 좋은지를 따지는 것보다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대기업과 집값의 관계: 대기업에 다니는 사람은 오래 다니고 싶어한다. 그래서 그 기업, 그 지역에 정착하고 싶은 수요로 연결되어 집값에 영향을 준다.
- 환경에서 우리가 백화점을 보는 이유: 대형마트, 백화점과 스타벅스 등은 대기업에서 힘들게 소비력이 높은 곳을 분석하여 입점 시킨 것이다. 우리는 상권 분석 능력 있는 좋은 대기업들을 레버리지 하는 것이다.
- 시세트레킹을 하면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꾸준히 모니터링하면 반드시 투자 타이밍이 눈에 들어온다.
- 착공, 개통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호재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상승장". 교통호재는 주요업무지구의 접근성이 정말 중요하다. 그러나 주의할 것은 호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입지!
- 슬럼프가 왔을 때도 그냥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과 고통은 같이 있을 수 밖에 없다.
- 적용할 점
- 임장보고서 보완
- 지역 개요 작성 시 지도와 인구를 통해 지역 더 자세히 분석해보기 (지도 - 인구 연결지어 생각)
- 지도를 통해 각 생활권 택지와 택지가 아닌 지역 구분 → 법정동 연령별 인구를 통해 맞는지 확인
- 인구 확인 시 인구 증감까지 함께 확인해보기
- 직장: 대기업 비율 함께 확인
- 나무위키로 임장 전 지역의 모습 확인
- 시세트레킹 양식 활용하여 현재 앞마당 TOP3 물건들 정리하기 + 랜드마크 단지 함께 정리
수년간의 노하우들 이렇게 모두 완벽하게 정리해서 강의해주신 유디님께 정말 감사합니다!!
꼭 알려주신 것들 적용해서 투자로 연결 시켜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