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생글생글 입니다
공부를 한다고해도 어렵고
임장을해도 어려워요ㅠㅠ
서울집들은 오래된곳들이 많아서 앱인테리어ㄹ앱인테리어를해야하저라고요 간혹 부분수리된곳도 있지만 대부분 제가 수리를 해야하더라고요
예를들어 저층은 샷시까지 올수리된집 저렴,
중층 미수리 1층보다 가격비싸고 인테리어 비용 추가 그러면 대략 9천에서 1억차이인데
이럴땐 수리비용도 만만치 않은데 집을 싸게사면 좋지만 집을 비교분석시 이조건도 해당될까요?
어떻게 사야 현명할까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생글생글님 안녕하세요. 서울은 구축이 정말 많죠. 그리고 나온 매물을 보면 저층 특히 1층 같은 경우는 특올수리 샷시까지 정말 예쁘게 잘 되어있는 것도 있습니다. 그런데도 중층매물보다 싼 경우도 종종 있어서 저의 마음을 흔들어놓은 경우도 많았습니다. 저는 월부에서 3년차 투자자가 된 같은 수강생입니다. 혹시 강의를 들어보셨을지 모르겠네요. 저,환,수,원,리 배우셨을까요? 그 중에서도 부동산은 주식보다 팔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무엇보다 "환금성"이 중요합니다. 보통 1~3층의 저층은 환금성 측면에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싸게 사서 싸게 팔면 돼~"라고 실제로 부동산 사장님들이 이렇게 말해요. 저도 그렇게 생각해보기도 하는데요. 중요한 것은 하락장에서 저층은 환금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제가 언제 팔고 싶을지 미래는 알 수 없잖아요? 급한 금액이 필요할 수도 있고, 하락장에서 더 좋은 단지로 갈아 타고 싶은 경우도 생길 것 같습니다. 그럴때 저층 매물을 중층보다 5천만원 더 싸게 내놓는다고 하여도 저층 물건은 거래가 잘 되지 않아요. 오히려 매수자들은 중층물건을 저층 가격으로 깎아서 매수하는 경우는 봐왔었습니다. 환금성 측면에서는 저층은 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더불어서 구축 수리의 대략적인 견적은 싸게 한다면 84 기준으로 샷시까지 4000만원 59 기준으로 샷시까지 2500~3000만원 정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래서 구축을 볼때는 수리 여부도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싸지만 "저환수원리" 모두 충족하는가에 대한 원칙을 저라면 지킬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임장, 공부도 응원드릴게요 생글생글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