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부동산 기초 챌린지] 질문과 후기

25.07.17

[1일차]에서   2015년  →(+10년) 2025년 수익(전세금: 현금흐름자산)+내 자금+시세차익(상승) 배웠는데…

  1. 10년정도 기간 보면 되는건가요?
  2. 수익이 좋은 것과 시세차익이 많은 것 중 어떤 걸 고르는데 더 좋은건가요? 

 

[2일차]에서 교통과 수단을 보는데… (물론 돈이 많다면 역세권으로 고르겠지만…)

  1. 서울로 위치는 중심에서 더 가까우나 수단이 버스+지하철

  2. 경기도로 중심에서 거리는 더 멀지만 수단이 지하철로 더 유리한 경우 

  3. 구축과 신축 연식은 어느 정도까지? 복도식과 계단식도 중요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걸 고르는데 더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정말 절실한 마음으로 수업을 들었습니다. 기회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부동산을 무작정 금액으로만 찾아보면서… 전세와 자가 고민을 했고 

서울 위주로 찾으면 2000년 이전 아파트만 갈 수 있을거 같은데…

소득이 적어서 대출없이 하고 싶고 현재 동부청 소속이지만… 서울 어디든 옮길 수 있긴 합니다.

질문드립니다.

 

현재 45살 5학년 둥이맘이고요. 공무직으로 근무 중. 현재 동대문구 9억 8000 아파트 소유 중입니다.

신랑이 자꾸 상의없이 주식 등으로 부채를 만들었고 부채총액 4억4900+알파, 부동산 담보만 2억8100입니다.

최근 또 대출로 소장제출 상태이고, 이혼 준비중입니다.

제가 5억정도 재산분할 받을 거 예상하지만… 예상은 예상이라…ㅠㅠ

우선 제 수입이 세전 200조금 더 되는데…

세후공제와 식대와 공제회비를 내고나면 실수령액은 90이 안됩니다.

  1. 복리여서 적금처럼 공제회비를 90씩 내고 있는데… 앞으로 생활하려면 공제회비를 줄이거나 해약하는게 좋을지
  2. 어느 정도 생활비 등으로 여유자금을 두고 실거주아파트를 구매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두 아이와 앞으로 살아갈 날이 두렵기도 하지만… 아이들을 위해 더 열심히 준비하려고 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서희서준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