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안녕하세요.
독립적인 투자자로서
꿈을 현실로 바꾸는 여정을 이어가고 있는 퓨어코코입니다.
2주차 강의에 대한 후기를 간단하게 기록해 보려고 합니다.
1: 단지 임장, 그냥 ‘구경’하러 가는 게 아니었다
이번 강의를 듣기 전까지는
‘좋아 보이는 아파트를 직접 가서 둘러보는 것’이 임장이라고 생각했는데요
하지만 강의를 들으며 명확히 깨달았습니다.
단지 임장은 단순 현장 확인이 아닌,
‘사전 분석 + 현장 검증 + 기록 정리’의 3단계 미션이라는 것!
예를 들어, 단지를 임장하러 갈 때도
상권 구성
등을 미리 지도와 실거래가 데이터를 통해 파악하고 가야,
현장에서 “진짜 보기 위해 가는 것”이 된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2: '단지 가치 = 입지 + 건물' 공식을 체득하다
‘좋은 단지’는 뭘까?
단순히 브랜드나 연식이 아닙니다.
단지 가치를 입지적 요인과 건물 요인으로 분해해서 판단하는 법을 알수 있었어요.
이 두 가지 요소가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 ‘선호도 상중하’가 나뉘고,
이 선호도에 따라 시세, 전세가율, 거래량도 달라진다는 걸
사례를 통해 생생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는 마치 안개 낀 시장을 뚫고 나갈
나침반을 얻은 느낌이었습니다.
막연히 "이 단지가 좋아 보여"라거나 "여기 곧 오른다더라" 같은
분위기와 감으로 접근했던 저에게,
숫자와 구조, 그리고 흐름으로 설명해주는
투자 방식은 눈이 번쩍 뜨이는 경험이었어요.
특히 인상 깊었던 건,
단지를 "좋다/나쁘다"가 아니라
"더 좋고, 덜 좋은"으로 비교하는 프레임이었습니다.
같은 입지에서도 단지별로 미묘하게 갈리는
가격, 학군, 교통, 재건축 기대감 등을 비교 분석하는
눈을 키워야 한다는 말이 참 와닿았습니다.
또한 "소형은 전세가율이 높아야 한다",
"대단지는 유동성이 있다",
"노후도는 가격의 벽을 만든다"는 식의 구조적 사고는,
매물을 볼 때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알려줬습니다.
결국 투자도 공부라는 말.
그 말이 뼈저리게 느껴졌습니다.
한 호흡 쉬어가는 여유도 필요하지만,
매번 강의를 들을 때마다
'나는 지금 어디쯤 와있지?'를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어요.
앞으로도 단순히 '좋아 보이는 동네'가 아니라,
'근거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고 싶습니다.
댓글
퓨어코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